민중당, 27일 국회서 학교급식실 노동환경개선 촉구 기자회견
화상사고, 근·골격계질환, 직업암 등 발병 급증…대체인력 없어 병가 못내
김규연 녹색병원 의사 "안전보건 사각지대…작업환경 평가 수시로 이뤄져야"

2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학교급식실 산업안전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고 급식실 노동환경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사진 왼쪽부터 이은혜 민중당 대변인, 김동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법규부장, 박정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정책실장,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서울지부장, 김규연 녹색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 (사진=민중당 제공)
2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학교급식실 산업안전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고 급식실 노동환경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사진 왼쪽부터 이은혜 민중당 대변인, 김동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법규부장, 박정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정책실장,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서울지부장, 김규연 녹색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 (사진=민중당 제공)

[소비자경제신문 민병태 기자] 학교급식실의 안전보건이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화상과 칼 베임 등 사고가 빈번하고 급식종사자 93.7%가 근골격계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 연차나 병가를 신청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대체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탓이다. 치료비 역시 대부분 본인이 부담하는 실정이어서 작업환경에 대한 수시평가를 실시하라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27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학교급식실 산업안전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고 급식실 노동환경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학교급식실 산업안전실태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초중고교 급식실에서 일하는 조리사, 조리실무사, 영양사를 대상으로 산업안전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3056명중 93.7%가 일주일 이상 근·골격계 질환을 앓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팔목과 손목 터널증후군, 방아쇠수지, 결정종, 손과 손목의 관절증, 근막통증증후군, 어깨 건염과 건막염, 어깨 점액낭염, 충돌 증후군, 퇴행성 관절염, 외상과염, 내상과염, 근막통 증후군, 팔꿈치 건염, 건초염, 거북목증후군, 경부 견갑부 근육의 근막통 증후군, 허리염좌, 추간판 탈출증, 척추분리증, 척추전방전위증, 반월상 연골 손상, 무릎뼈 연골연화증, 무릎뼈 윤활낭염, 족저근막염, 무릎뼈 힘줄염, 발목과 발의 건염 등이다. 급식 일을 하면 할수록 골병이 늘어나는 셈이다.

기름과 뜨거운 물에 데여 화상을 입는 사고를 당한 노동자도 44.5%에 달했다. 일이 너무 바빠 전을 굽고 돌아서다가 미끄러지면서 전판을 짚은 경우, 대청소 하면서 약품 때문에 화상을 입은 경우, 펄펄 끓는 솥의 물이 장화 속으로 들어간 경우, 뜨거운 물로 인해 얼굴에 화상을 입은 경우 등이다.

부딪히고 넘어지고 베이고 찔리는 사고 역시 48.4%에 달해 위험투성이인 안전보건 사각지대에 머물고 있다.

하지난 많은 급식노동자들이 자기비용으로 질병을 치료하고 있어 산재는 있으나 마나인 상태다.

조사결과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산재처리(1.8%)보다 자기비용처리(63.%)가 절대적으로 높았다. 피부질환 치료도 자기비용처리가 77.4%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사고성재해 역시 자기비용처리가 67.3%에 달하는 반면 산재처리는 8.7%에 불과했다.

게다가 연차나 병가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체인력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치료를 위해서는 병가나 연차를 사용해야 하지만 대부분 참고 지나가거나 근무 외 시간을 이용해 자신의 비용으로 치료를 하고 있다.

병가나 연차를 사용하려면 대체인력을 사용해야 하지만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체인력이 필요한 경우 학교나 교육청에서 구해주는 경우는 8.1%에 불과하고 70%는 본인이 알아서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규연 녹색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는 "조리기구, 조리대, 조리시설의 안전장치, 환기시설, 세재, 조리실의 구조, 보호구 등 작업환경개선이 광범위하게 필요하다"며 "더 이상 학교 급식실이 안전보건의 사각지대로 남지 않도록 작업환경에 대한 평가가 수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호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정책실장은 "시·도 교육청은 교육감 선거와 예산, 인력 부족 등을 핑계로 학교 급식실에 대한 산안법 적용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며 "급식종사자들의 화상사고, 근·골격계질환, 뇌심질환, 직업암 등의 발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사용자의 산업안전보건조치 위반을 묵과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학교급식 등 국내 주요 단체급식업체로는 CJ프레시웨이,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동원홈푸드, 이씨엠디, 대상베스트코, 푸드머스 등이 영업중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