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식 투자, 혁신과 도전으로 포장하지 마라" 주장
"몸이 부서져라 매출 올리는 이마트 노동자들에게 지독한 모욕" 지적

마트산업 노동조합은 11일 오후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 앞에서 결의대회를 갖고 정용진 부회장과 이마트 경영진을 규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 최빛나 기자] 마트산업 노동조합이 11일 오후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정용진 부회장과 이마트 경영진이 경영실패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정용진 부회장을 겨냥해 "노브랜드와 신세계 TV 쇼핑, 조선호텔사업 등 벌이는 사업마다 적자다. 비등기 임원으로 경영실패의 법적 책임도 없고 도의적인 책임도 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용진 부회장은 지난해 6월 경제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매년 1만명씩 채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1년 전보다 직원이 오히려 1400명 줄었다"며 "기본급 82만원인 무기계약직 사원 1만6천명과 초단기 계약직 스태프 사원 3300명이 오늘도 이마트에서 몸이 부서져라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정 부회장의 유통사업 전략은 오직 구조조정뿐"이라며 "셀프계산대 확대, 인력재배치, 무차별 발령으로 인한 퇴사 유도로 구조조정의 칼날을 휘두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문어발식 투자가 혁신과 도전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는 것은 이마트 노동자들에게 지독한 모욕"이라며 "마트 노동자들, 소상공인, 중소상인들과 함께 힘을 합쳐 '을의 연대'로 신세계 재벌을 개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마트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일부 노조에서 주장하는 인력구조 조정 및 인원감축은 말도 안 되는 억측으로 전혀 사실무근 이다. 인력재배치의 경우에는 기업의 통상적인 경영활동의 일환으로 일부 인력의 경우 다른 업무로 이동한 것이지 인력 감소 등의 구조조정과는 전혀 상관없다"며 "노조측에서 1400명이 줄었다고 하지만 쓱닷컴 신설법인 설립으로 1500여명 가량이 신설법인인 쓱닷컴으로 이동한 것으로 인원은 전혀 줄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무인 계산대가 늘어나는 것은 1~2인가구 증가, 20~30대를 중심으로 대면 접촉없는 언택트 소비 증가 등 소비트렌드가 변하자 소비자들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도입한 것"이라며 "기술 발전으로 무인계산대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것도 한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