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 관리감독 필요

최근 농심이 제조원가와 판매관리 등 비용증가로 라면, 과자류 가격을 인상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최빛나 기자] 농심이 과자류와 라면 가격을 일제히 인상해 연말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정부 당국의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농심은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등 비용 증가로 과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라면 시장 경쟁에서 뒤쳐지면서 매출로 이어지자, 과자류 가격까지 올린 것 아니냐는 비판이 새어나오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26일 농심의 재무제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이런 분석을 내놨다.
 
센터는 "농심은 가격 인상 요인을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들었으나 제조원가의 경우, 매출원가율(매출액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71%, 2015년 69%, 2016년 68%, 2017년 67%로 매년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며 "농심의 영업이익률도 최근 5년간 4∼5%로 큰 변동이 없었다"며 과자가격 인상 배경으로 라면 시장 점유율 하락을 꼽았다. 
 
또 "농심의 올해 3분기 라면 시장 점유율은 2014년보다 7.3%포인트 떨어졌다"면서 "이 하락분인 약 1천500억원을 이번 스낵 가격 인상을 통해 충당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며 "농심이 소비자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가격 전략을 채택하길 기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농심은 지난 15일 새우깡, 양파링 등 스낵류 전체 23개 브랜드 중 19개 출고가를 평균 6.7% 인상했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14년, 2016년에 이어 2년 만이다.
 
김광석 한양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농심이 전략적으로 가격을 올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전략적으로 가격을 선정했다면 경쟁사와 같은 속도로 다변화해야 한다. 가격을 낮춰 판매량을 늘린다던가, 새로운 제품군을 계속 선보이는 등..."라며 "이번 가격 이슈는 제조 물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에 올릴  밖에 없는 구조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