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항류마티스제제 치료가 염증 조절에 관건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소비자경제=곽은영 기자] 12일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세계 관절염의 날이다. 관절은 뼈와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몸을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동시에 하중을 지탱하게 하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 팔과 다리에는 68개의 관절이 있고 이외에도 경추, 요추, 흉추도 모두 관절로 이뤄져 있다. 관절에 염증이 생기면 관절 운동이 잘 되지 않아 활동이 힘들고 통증이 발생한다.

신체의 면역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류마티스 관절염은 인구의 0.5~1%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기에 치료를 하지 않으면 관절 변형이 생기거나 폐나 혈관에도 염증을 일으켜 심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도 있다. <소비자경제>는 세계 관절염의 날을 맞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송란 교수의 자문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 및 치료 포인트에 대해 알아봤다.

-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은 무엇인가?
류마티스 관절염은 연골의 퇴행에 의한 관절염이 아니라 몸 안의 면역세포가 자기 자신의 관절 조직을 스스로 공격해 파괴시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자가면역반응은 한번 생기면 계속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평생 치료해야 한다. 주로 작은 관절인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관절을 공격하지만 턱 관절, 무릎관절, 어깨 관절, 목 관절 등 모든 관절을 공격하며 관절 이외에도 폐, 혈관, 심장 등에도 염증이 생길 수 있다.

- 류마티스 관절염은 중년 여성에게 잘 생기나?
류마티스 관절염도 퇴행성 관절염과 비슷하게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24만4486명으로 여성은 18만4812명이었다. 이는 남성 5만9674명보다 3배 이상 많은 수로 20대 3%, 30대 7%, 40대 15%, 50대 28%, 60대 25%로 주로 50~60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퇴행성 관절염과 증상이 비슷한가?
관절에 통증이 생긴다는 점은 같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많이 사용했을 때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활동을 시작하면 더 악화되고 류마티스 관절염은 활동을 하면 통증이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다. 두 관절염 모두 이른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지는 조조강직이 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은 여러 관절이 동시에 붓는다는 특징이 있다. 만약 자고 난 이른 아침에 뻣뻣함과 함께 통증이 1시간 이상 지속되고 관절 마디마디가 많이 부어 오른다면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관절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 류마티스 관절염임을 알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
초기 증상은 아침에 손가락이 뻣뻣해져 주먹이 잘 쥐어지지 않고 움직여지지 않는 조조강직이 1시간 이상 지속된다는 것이다. 손가락, 발가락, 손목, 팔꿈치, 어깨 등 여러 관절이 양측으로 붓고 아프다. 특히 아픈 관절 주위가 많이 붓고 뜨끈뜨끈한 열감이 느껴진다면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미 손상된 관절은 되돌리기 힘들고 손가락 관절에 장애가 오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므로 병이 진행되기 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나?
류마티스 관절염은 완치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초기 면역억제제 치료가 관해를 잘 유지하면 상당 부분 약을 줄이거나 감량할 가능성이 크다. 때로는 약을 중단하고 추적만 하기도 한다. 증상 발현 후 1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예후가 좋기 때문에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항류마티스제제 치료로 빨리 염증을 조절하는 것이 관절 변형을 막고 질병을 조절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환자가 치료를 시작할 때 두려움을 느끼고 약 복용을 거부한다. 약을 너무 오래 복용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장기간 복용으로 다른 장기 손상 등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걱정 때문이다.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는 오랜 세월을 거쳐 안정성을 인정받은 약제다. 의사도 진료과정에서 주기적 혈액 검사나 증상 관찰을 통해 부작용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기 때문에 의료진을 믿고 발병 초기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 날씨가 추워지면 통증이 심해지는데 관절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나?
요즘처럼 날씨가 쌀쌀해지면 관절 주위의 근육, 인대, 힘줄들이 추위로 인해 수축돼 뻣뻣해지면서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게 된다. 혈액순환도 줄어들게 되면서 관절강 내 염증 조절이 잘 안 돼 통증 지수도 올라가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관절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관절이 부어 있는 경우 온찜질은 염증을 더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냉찜질이 도움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