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권리주장 역량 낮아 교육 강화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2018년 1월 3일부터 전국 초·중·고 교사 및 교육전문직 12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교육 직무 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소비자경제)
(사진=소비자경제)

[소비자경제=권지연 기자] 대체로 모든 부분의 소비자 역량이 고르게 향상된 반면, 소비자권리주장 역량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0대 이상의 고령과 저소득, 저학력일수록 소비생활에서 정보이해와 활용역량, 소비자권리 주장 역량이 낮아 실질적인 교육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소비자역량은 꾸준히 향상해 ’14년 대비 1.5점 상승한 평균 65.5점(100점 만점)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역량지수는 소비자재무역량, 소비자거래역량, 소비자시민역량 등 3개 대영역 역량에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해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것으로 소비자로서 역할을 하기해 얼마만큼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소비자원이 2010년부터 4년 단위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는 2010년 61.5점에서 2014년 64.0점, 올해 65.5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특히 소비자재무역량(65.7점)과 소비자거래역량(66.0점)은 ’14년 대비 각 2.7점씩 상승했다. 

단, 소비자시민역량은 64.4점으로’14년 대비 소폭 하락(1.4점↓)했다. 소비자시민역량 중에서도 특히 정보이해·활용 및 소비자권리주장에 대한 교육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소비자거래역량의 사용 및 분쟁해결(70.1점), 구매의사결정(66.9점) 역량은 타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소비자거래역량의 정보이해·활용(62.5점), 소비자시민역량의 소비자권리주장(62.9점)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소비자원은 시장의 급속한 변화 때문에 소비자정보 격차가 발생한다고 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의 소비자역량지수가 각각 100점 만점에 68.4점으로 가장 높고, 60세 이상 고령층이 60.4점으로 가장 낮았다.

60세 이상 고령 소비자의 경우 모든 부문의 소비자역량지수가 낮았다. 특히 정보이해와 활용, 구매의사결정, 사용·분쟁 해결 등에 관한 소비자거래역량이 58.5점으로 평균보다 무려 7.5점이나 낮았다.

재무 설계와 관리 능력인 소비자재무역량은 20대가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소비자재무역량은 62.5점으로 60세 이상 63.4점 보다도 낮았다.

소득 수준별로는 월 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소비자역량지수가 59.6점으로 가장 낮고, 월 소득 300만 원 이상 집단의 소비자역량지수가 평균보다 높았다.

또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자역량이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졸 이상의 소비자역량(67.7점)이 고졸 이하 집단(62.9점)보다 4.8점 높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소비자역량지수 산출 결과를 소비자정책 수립과정에서목표 정책대상 도출 및 정책 수립에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계획이며, 향후 소비자역량지수를 활용한 정책 세미나 개최 등 유관 부처와의소통·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소비자역량지수 조사는 지난 7∼8월 전국 20세 이상 성인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