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적 이목 집중된 시점 맞춰 슬그머니 '맛동산' 등 5개 제품 가격 인상
[소비자경제=최빛나 기자] 해태제과가 27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에 국민적 이목이 쏠려 있는 이 시점에 자사 과자류 오예스, 맛동산 등 5개 제품의 중량당 가격을 12.7% 인상해 '꼼수'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해태제과 측은 우연히 날짜가 겹쳤을 뿐이며 원가 압박을 견디지 못해 6~7년만에 불가피하게 올린 것이라 해명했다.
해태제과는 오예스와 맛동산 등 5개 제품의 가격과 중량을 조정해 중량당 가격을 평균 12.7%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중량당 가격을 평균 17%(12.5%~27.3%) 인상한다.
오예스는 오리지널 맛, 그릭요거트 맛, 딸기 맛은 모두 권장소비자가격을 기존 4800원에서 6000원으로 25% 인상한다.
다만 오예스 딸기의 324g 제품의 경우 360g으로 증량 돼 중량당 가격은 12.5% 인상된다. 오예스의 신제품인 노아캬라멜 맛 336g은 가격 인상 제품에 해당하지 않는다.
맛동산은 가격과 중량을 함께 조정해 중량당 가격을 평균 12.9%, 최대 27.3% 인상한다. 맛동산 180g 제품의 경우 가격변동 없이 중량만 감량한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량도 함께 늘려 중량당 가격 인상률은 평균 12.7%다"라고 설명했다.
웨하스의 오리지널 맛, 딸기 맛, 치즈 맛 50g 제품은 중량 변화 없이 권장소비자가격만 12.5% (800원 → 900원)인상했고 오사쯔 65g 제품의 가격 인상 폭은 25% (1200원 → 1500원)이다.
미니자유시간은 중량만 60g(690g → 630g) 줄여 중량당 가격은 9.5% 오른다.
가격인상 해당 제품은 원가압박을 감당하기 어려운 제품으로 한정하고, 가능한 한 중량도 함께 높여 인상률을 낮췄다는 설명이다. 가격 인상에 해당되는 제품은 거래처별 재고에 따라 5월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량도 함께 늘려 중량당 가격 인상률은 평균 12.7%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원재료, 인건비, 물류비 등 어떤 항목에서 비용이 크게 올랐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다. 유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달러도 약세를 유지하고 있어 원재료 수입에서도 큰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이들 5개 제품들의 선정 기준도 모호하다. 원가 압박이 심한 제품들로 선정했다고 하지만 가격이 오른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해 어떤 비용이 더 들어가는지 명확지 않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익 극대화를 위해 인기제품의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가격 인상 발표 시점 역시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해태제과는 남북 두 정상이 만나기 바로 직전 오전 9시쯤 자료를 배포했다.
해태제과 측은 "우연히 날짜가 겹쳤을 뿐 정치적인 상황을 고려한 것은 아니다"며 "4월 초에 발표하기로 했는데 날짜를 다시 바꾸기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영업이익이 지난해 전년인 2016년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재료비와 인건비, 대형마트의 강한 할인 요구 등을 감안했다"며 "회전율이 떨어지는 대용량 제품이 크게 올랐는데 낱개당 가격은 저렴하다. 고심 끝에 7년만에 가격을 올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소비자들은 SNS를 통해 "과자 가격은 올리면서 양은 쏙쏙 잘도 줄이지”, “가격만 올리지 말고 양도 좀 늘려라”, “질소 가격이 올랐나?”, “수입과자 사먹자 유해요소 체크도 되어있고 가성비도 2배다”, "가격 올라서 욕먹을까봐 남북정상회담 때 발표하는거 아니냐?" 라는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최빛나 기자
vitnana2@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