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중 가장 낮은 수치…주택마련까진 10년 이상

(사진=소비자경제)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서울 지역 30대 가구주 가운데 보유 주택이 있는 이는 3명 중 1명꼴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결혼, 출산과 육아 등으로 첫 집 장만을 꿈꾸게 되는 30대 중 주택소유가구 비중은 2015년 기준 42.4%였다. 10명 중 4명가량이 '내집'을 보유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전국의 30대 가구(가구주 기준)는 327만9000 가구였고,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39만 가구였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30대 가구는 71만3000 가구였지만 주택소유 가구는 23만7000 가구에 그쳐 주택 소유가구 비중은 33.3%에 그쳤다. 

전국 평균보다 9.1%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소유 비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30%대를 기록했다.

서울 다음으로 낮은 강원(41.2%)과 제주(41.6%), 경기(41.8%), 대전(42.5%) 등도 40%를 웃돌았고, 대구(44.9%), 세종(45.1%), 충남(45.3%), 경북(45.6%) 등은 45% 내외였다. 

인천(46.2%), 광주(46.3%), 전북(46.5%), 전남(46.7%), 부산(47%), 충북(47.3%) 등에 이어 경남(50.3%)과 울산(53.3%)만 50%를 넘었다.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소유 비율이 유독 낮은 것은 서울의 집값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비싼 데다 20∼30대 취업 이후 종잣돈 마련에 그만큼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 부모 등의 도움을 받아 결혼 직후 집을 산 경우가 아니라면 적어도 5년, 길게는 10년 이상 노력해야 겨우 자기 집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의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에서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주택 마련까지 걸리는 시간을 표본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이 3명 중 1명인 3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년 미만'이 26.1%, 5∼10년은 21.4%, 3∼5년은 10.2% 등이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같은 이유가 서울 지역의 평균 초혼 연령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