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올해 아시아 맥주 매출 비중 33.7% 점유”

세계 맥주 이미지(사진=롯데마트)

[소비자경제=이선애 기자] 수입 맥주 시장에서 일본 맥주가 세계 맥주 시장 1위를 재탈환하며 아시아 맥주가 약진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18일 올해 세계 맥주 판매 현황에서 유럽 맥주의 매출은 줄어든 반면, 아시아 맥주의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중 올해 아시아 맥주의 매출 비중은 전체 세계 맥주 매출 중 33.7%를 점유, 3년 연속 매출 비중 증가세를 보이며 6개 대륙 중 2위를 기록했다.

이 같은 도약은 일본과 중국 맥주의 약진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일본 맥주의 경우 세계 맥주 수입 초창기부터 국내에 알려졌던 ‘아사히’ 등을 통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줄곧 세계 맥주 1위 국가를 수성하고 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독일에게 1위 자리를 내줬으나, 지난해와 올해는 다시 1등을 차지했으며 매출 비중도 함께 늘렸다. 

중국 맥주 역시 2015년 6.0%의 매출 비중으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와 올해 등수는 매해 한 계단씩 하락했으나 매출 비중은 지난해 7.1%, 올해 7.5%로 매년 비중을 늘려나갔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일본 맥주의 경우 4대 맥주(기린, 산토리, 삿포로, 아사히)의 취급 종류가 늘어나고 벚꽃 에디션 등 한정판 맥주를 출시해 선보인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며, 중국 맥주는 ‘양꼬치 앤 칭따오’라는 유행어가 생길 만큼 특정 브랜드 상품이 국내 시장에 안착한 결과인 것 같다”고 전했다.

반면, 유럽 맥주 매출의 경우 2015년 60.7%, 2016년 58.7%, 2017년 현재 58.2%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독일 맥주는 2014년 30.9%의 매출 비중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매출 비중은 지속 감소세를 기록, 지난해와 올해엔 2위로 내려앉았다. 이는 메가 히트 브랜드가 없는 독일 맥주의 특수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세계 맥주 시장 성장기에는 다양한 맥주들을 먹어보는 재미를 중시했다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는 현재는 자신의 입맛에 맞는 브랜드 파워가 있는 세계 맥주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찾게 됐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실제로 독일의 경우 일본의 4대 맥주(기린, 산토리, 삿포로, 아사히), 중국의 칭따오 등에 비해 그 국가와 바로 연관시킬 수 있는 맥주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적다.

네덜란드는 ‘하이네켄’이라는 메가 히트 브랜드로 매년 꾸준히 3~4위를 기록하고 있고 프랑스 또한 ‘크로넨버그 1664 블랑’의 인기로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5위에 이름을 올린 것도 독일 맥주의 아쉬운 현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사례다.

한편, 롯데마트에서 세계 맥주의 매출 비중은 올해 51.1%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국내 맥주 매출 비중을 넘어섰다.  이러한 세계 맥주의 인기를 감안해 롯데마트는 이달 26일까지 세계 맥주 다다익선 행사를 진행한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