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터넷 커뮤니티)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수출 호조 등으로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새 정부 기대감에 소비심리가 호전되고 있지만 저소득층의 체감경기는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가계수입전망CSI(소비자동향지수)를 소득수준별로 보면 월수입 100만원 미만은 91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6월(94)보다 3포인트 떨어졌다. 

월수입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도 95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가계수입전망CSI는 108로 작년 6월에 비해 6포인트 올랐고 400만∼500만원(103→107), 300만∼400만원(98→106), 200만∼300만원(93→99)도 상승했다.

1년 사이 고소득층에서는 가계 수입이 늘어난다는 기대감이 커진 반면 저소득층 사이에서는 미래에 대한 희망적 시각이 사라진 셈이다.

소비자동향조사는 전국 도시 2200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C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은 것이다.

소비지출전망CSI도 마찬가지다. 월수입 100만원 미만은 92로 지난해 6월보다 6포인트 떨어졌으며,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은 98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이와 달리 500만원 이상(110→115), 400만∼500만원(109→111), 300만∼400만원(108→113), 200만∼300만원(103→107)은 1년 사이 크게 좋아졌다.

경제계 전문가들도 소득 격차에 따른 결과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달 "그동안 많은 나라에서 계층 간 소득 격차가 확대됐는데 이는 성장, 고용, 소득 그리고 다시 성장으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