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 가격↓, 매출액·영업익↑…"인상 부당하다"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출처=하겐다즈)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하겐다즈가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을 하자 소비자 단체를 비롯해 소비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한국 하겐다즈의 손익계산서와 판매관리비, 중요 원재료 등을 분석하고 가격인상이 타당한지 검토했으며 "고급 아이스크림 이미지 구축을 위한 가격인상은 지양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하겐다즈는 같은날 편의점 기준으로 파인트는 9900원에서 1만1300원으로 14.2%, 미니컵과 크리스피샌드위치는 3900원에서 4200원으로 각각 7.7% 가격을 인상했다.

이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유제품,과 설탕, 포장원료 등의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운반비 상승으로 인한 가격인상은 소비자가 납득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운반비는 매년 지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업체의 운반비상승은 매출액 상승으로 인한 물동량 증가의 영향도 있으며, 매출액 대비 운반비 비율도 미비한 수준이다"라고 전하며 한국 하겐다즈의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한국 하겐다즈의 최근 5년간(2012~2016년) 손익계산서를 분석해 본 결과 2012년 대비 2016년의 매출액은 459억원으로 68% 상승했고, 2012년 대비 2016년 영업이익률은 14.7%로 112% 크게 상승했다.

반면 매출원가율은 2012년 48.1%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6년에는 42.6%까지 낮아져, 업체측에서 밝힌 국내외 물가상승과 주요 원재료가격 인상 영향은 소비자가 선뜻 이해하기 어려워 보인다.

한국 하겐다즈 아이스크림의 생산은 프랑스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유럽의 유제품 가격을 기준으로 주요 원재료가격을 분석해 본 결과 2017년부터 EU생산원유가격은 상승하고 있으나 이는 2014년 4.33달러에서 2016년 2.08달러로 대폭 하락한 후 다시 상승한 것이다.

또 2015년 2.61달러 평균에도 못 미치는 가격이다. 원당 또한 2015년 0.37달러로 크게 하락한 후 상승하고 있어 2017년부터는 2014년 0.43달러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 관계자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빙과류 등 여름 시즌메뉴의 가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여름을 맞아 부당하게 가격을 인상하는 기업을 감시하고 대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