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꼭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장년 기혼 여성의 비율이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소비자경제DB)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자녀를 꼭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장년 기혼 여성의 비율이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출산력 조사를 활용한 한국의 출산력 변천 과정 연구' 보고서를 보면 15∼49세 기혼여성 중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만 해도 70∼90%대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1985년부터 1997년까지 74.4%에서 90.3%에 달하던 비율은 2000년 58.1%로 급락했고, 2003년 55.2%, 2006년 54.7%, 2009년 55.4% 등으로 하락한 수치를 유지했다. 

2012년에는 46.4%까지 추락하다 2015년에 60.2%로 반등했다.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는 인식의 비율은 1985년 8.9%, 1988년 8.7%, 1991년 8.5%, 1994년 7.5%, 1997년 9.1% 등으로 한동안 한자릿수에 그쳤으나, 2000년 10.2%로 오른 후 2003년 12.7%, 2006년 12.1%, 2009년 11.6%, 2012년 15.7%, 2015년 10.6% 등 두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자녀 중에서도 아들이 꼭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혼 여성들의 생각은 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는 인식은 1985년 43.1%에 달했지만, 1991년 40.6%, 1994년 28.8%, 1997년 27.6%, 2000년 18.0%, 2003년 16.3%, 2006년 11.0%, 2009년 9.1%, 2012년 8.8%, 2015년 5.7% 등으로 낮아졌다.

'아들이 없어도 상관없다'는 인식은 1985년 35.5%, 1997년 37.7%, 2000년 38.2%, 2003년 43.0%, 2006년 48.9%, 2009년 50.7%, 2012년 57.3%, 2015년 65.2% 등으로 치솟았다.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은 "초혼 연령이 높아질수록 출산율이 감소했다"면서 "출산율을 높이려면 초혼연령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