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화해 무드…관광업 활기 띠나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사드 배치로 인해 중국과 경제적 단절로 운항 전면 중단 위기에 놓였던 지방 공항들이 한·중 관계가 완화될 조짐을 보이자 숨통이 트이고 있다.
사드 보복의 여파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발길을 끊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던 청주국제공항의 면세점과 충청지역 관광업계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사드 조치로 중단했던 5개 청주∼중국 노선(선양·상하이·하얼빈·다롄·닝보) 운항을 오는 8월 20일부터 재개한다. 이 항공사 중국노선이 완전 정상화되는 것이다.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 관계자는 "중국과의 관계가 개선되면 항공사들이 꾸준히 수익을 냈던 청주∼중국 노선 운항을 다시 정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광저우에 위치한 남방항공 역시 지난 3월 15일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여행 상품 판매 중단 조치에 따라 폐쇄했던 청주∼옌지, 청주∼하얼빈 노선 중 옌지 노선을 조만간 재운항하기로 했다.
조만간 청주~하얼빈 노선 재개조차 점쳐지고 있다.
중국 노선 재개 움직임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한중 관계가 완화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 특사인 이해찬 전 국무총리가 지난 19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을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양국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노선 운항 재개 소식이 나오자 사드 사태 이후 중국 관광객 발길이 끊겨 줄줄이 폐업 위기에 놓였던 청주공항 면세점과 지역 관광업계는 반기는 모습이다. 또한 사드 배치 후 중국에서 접속되지 않던 롯데의 백화점과 쇼핑, 면세점 등 한국 쇼핑몰 페이지가 다시 접속되기도 했다.
다만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와 관련한 한한령을 공식적으로 해제한 것은 아니다. 또 중국 현지에 잔류하고 있는 '반한 심리' 역시 넘어야 할 높은 벽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지에서 완전하게 한한령 규제가 풀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 관광업계가 활기를 띨 것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일단 현지 여행사에서 최근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현재 당국에서 이전만큼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