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구조조정…“수십 명 수준의 작은 회사로 축소될 전망”

[소비자경제=김현식 기자] 팬택이 스마트폰 사업을 전면 중단한다. 동남아시아에서 합작회사(조인트벤처) 설립을 계획하며 재기를 노렸으나, 결국 적자를 이기지 못해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팬택 관계자는 12일 “모회사 쏠리드의 정준 회장이 전날 직원들에게 스마트폰 사업을 잠정 중단하고 추가 구조조정에 들어간다고 공지했다”며 “사물인터넷(IoT) 사업 등 일부만 남길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팬택은 지난해 6월 ‘아임백’을 국내 출시했다. 이 스마트폰은 팬택이 1년 7개월 만에 내놓은 신작으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출하량이 13만2000대에 그쳐 목표치 30만대에 미치지 못했다.
팬택은 작년 3분기 말부터 자본잠식에 빠졌고, 연간 순손실이 매출(514억 원)보다 큰 706억 원을 기록했다. 쏠리드는 지난해 1000억 원이 넘는 자금을 수혈하면서 팬택을 살리려 했지만 사실상 역부족이었다.
팬택은 동남아와 동유럽 등 신흥시장에서 현지 통신사업자들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하고, 아임백을 개량한 제품을 유통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막바지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다.
쏠리드의 추가 구조조정으로 팬택은 수십 명 수준의 작은 회사로 축소될 전망이다.
지난 2015년 11월 쏠리드가 팬택을 인수했을 때 직원은 약 500명이었으나, 이후 감원이 계속돼 250명, 120명으로 줄었고, 이번에는 더 줄게 돼 100명 이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현식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