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재위 업무보고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되면 우리경제도 타격”

[소비자경제=고동석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한국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우려와 관련해 “경기 침체에도 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가리키는데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일축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정책금리를 올리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냐는 자유한국당 김광림 의원의 질문에 “기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맞게 운용하겠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금리 정책의 원칙은 경제 상황에 맞게 완화적으로 운용한다는 것인데 완화라는 것이 곧 (기준금리) 인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또 올해 경제성장률 2.5% 달성이 가능할 것이냐는 물음에 “성장 전망이 기관보다 다르고 대외여건 변화를 어떻게 상정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이용 가능한 데이터로 2.5%(전망치)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우리 경제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대내적으로 경제 주체들의 심리 위축과 기업 구조조정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성장세를 제약할 수 있다”며 “미국 신정부의 정책 및 금리 인상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달러화 약세로 나타나고 있는 통화가치 전망에 대해선 “단기적으로 달러 약세로 판단하고 있는데 정책 방향을 보면 장기적으로 강세를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통화정책은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이밖에도 소비자물가와 관련해선 “농산물가격 오름세가 둔화하겠지만 도시가스를 포함한 석유류 가격 상승의 영향 등으로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과 내수 경기 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선 “주택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은 정부의 지난해 11·3 부동산 대책 이후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이라며 “최근 국내 경기가 수출과 설비투자 개선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앞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겠지만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자유한국당 박명재 의원이 지적한 환율조자국 지정 가능성에 대해 “여러 정황상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낮다”며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 않기 위해 (미국 측에) 설득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실무진에서 충분히 입장을 설명하고 있고 미국도 이런 입장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만약에라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소위 말하는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이 있다. 현재로서는 그런 상황이 안 되도록 하는 게 급선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 지정시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중국이 (미국의) 타깃이 된다면 저희도 분명히 큰 영향권에 들어간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