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출처=삼성전자 제공)

[소비자경제=최준영 기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016 회계연도에 1천902억원의 배당수익을 올리며 8년 연속 배당수익 1위를 기록했다.

10일 금융감독원 공시자료에 따르면 이건희 회장은 올해 국내 기업 총수 중 가장 많은 배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액수도 전년도 1천771억원보다 7.4% 증가했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3.38%에서 1천374억원, 삼성생명 498억원과 삼성물산30억원을 배당 수익을 받는다.

이 회장에 이어 2위인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차(342억원), 현대제철(118억원), 현대글로비스(76억원)에서 536억원을 배당받았다. 정 회장은 공시되지 않은 현대모비스 지분 7%의 배당 수익으로 약 237억원까지 더하면 770여억원 수준이다.

최태원 회장은 23.4%를 보유하고 있는 SK㈜ 지분으로 609억원을 배당받게 됐다. 이는 지난해 560억원에 비해 8.8% 증가한 것이다. SK㈜는 2015년 7월 SK C&C와 합병한 이후 2014년 17%선이던 배당성향을 30%대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 회장에 이어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현대글로비스(262억원), 현대차(151억원), 기아차(78억원), 현대위아(6억원), 이노션(4억원)으로부터 501억원을 배당받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전자(231억원), 삼성물산(180억원), 삼성SDS(53억원), 삼성화재(3억원), 삼성생명(1억원) 등에서 468억원을 배당받게 된다.

이 부회장의 배당금은 전년도 373억원에 비해 25.5% 증가했다. 이 역시 삼성전자가 2014년부터 자사주를 매입하고 주주환원 차원에서 배당금을 확대해 31.9% 증가했다.

삼성 총수 일가 중 홍라희 리움관장은 298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은 각각 81억원을 배당받아 삼성 일가가 받은 배당수익은 2천830억원에 달한다.

최근 재계 일각에선 우리나라의 배당수익률은 24개국 주식시장 중 22위로 최하위권이라며 배당수익률을 지금보다 더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