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네트워크, "정부와 지자체 및 기업, 사죄하고 근본적 재발 방지책을 수립하라"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안전사회 시민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22일 성명서를 통해 의왕경찰서의 연쇄적 암환자 발생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 기업에 사죄와 대책을 요구했다.
이날 안전사회 시민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경기도 의왕경찰서는 최근 7년 간 경찰서 내 암환자가 잇달아 발생한 것과 관련해 경찰청사를 임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암 발병이 경찰서 옆 아스콘 공장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과 연관이 있음을 정부기관이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전했다.
또 비단 의왕시와 의왕시에 위치한 아스콘 공장만이 아닌 전국에 산재한 아스콘 공장 등 유해물질 배출시설 지역 주민들과 노동자들의 안전과 생명에 집중한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21일 의왕경찰서는 개청 이후 7년간 경찰관 3명이 암으로 사망했고 2명이 암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 의왕경찰서는 최근엔 파출소에서 근무해 온 경찰관 1명이 추가로 암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임시 청사로 조기 이전할 것이라 밝혔다.
시민네트워크에 따르면 아스콘 공장 인근 주민의 암 발병 피해는 이미 여러 곳에서 오래 전부터 제기됐다. ▲제주 서귀포 서광송리에는 아스콘 공장이 5곳이나 있으며 지난 10년간 200여 주민 중 22명이 암에 걸렸으며 ▲전북 남원 내기 마을에는 1995년 아스콘 공장이 들어왔으며 1999년 첫 폐암환자 발생 후 17명에게 암 발병이 확인됐으며 13명이 죽었다.
또한 시민네트워크는 아스콘 공장의 오염 물질 배출을 규제할 세부 규정과 점검이 제대로 마련되거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다.
시민네트워크에 따르면 발암물질인 ▲PHAs(다륜성 방향족 탄화수소)의 경우 환경부에서는 이미 유해대기오염물질로 지정하고 있음에도 배출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와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등을 측정하는데, 굴뚝 이외에도 운반, 가공, 보관 등의 공정에서 비산하는 오염물질 등에 대해서는 측정도 하지 않으며, 측정을 하더라도 자가측정결과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한국환경공단 등 공기질 역학조사 결과,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한참 밑도는 수준으로 검출돼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네트워크 관계자는 "환경부는 전국에 산재한 모든 아스콘 공장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 위해성 조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발견된 지역은 전수 역학 조사에 나서야 한다"며 "정부는 유해 물질 배출 산업 시설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오염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노동자와 지역주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장치를 마련하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