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만에 주택담보 대출 금리 상승

[소비자경제=이창환 기자] 지난 7월 사상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달 8개월 만에 오름세를 나타냈다.
29일 한국은행 '2016년 8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2.70%로 7월보다 0.04%포인트 올르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한 것은 지난해 11월 3.04%에서 12월 3.12%로 오른 이후에 8개월 만이다. 제2금융권에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대출금리도 올라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지난 6월 연 1.25%까지 떨어진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들어 7월까지 꾸준히 하락했다.
한국은행 금융통계팀 최영엽 부국장은 "주택담보대출이 그동안 가파르게 증가했고 금리 하락 폭도 컸다"며 "시중은행이 증가세 관리에 들어가면서 금리가 상승세로 바뀐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이 연 내에 예상되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소식은 가계에 반갑지 않다.
미국 금리가 오를 경우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리기 어렵게 되고 장기적으로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다른 가계대출 금리는 대체로 떨어졌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4.24%로 7월과 같았으나 집단대출 금리는 2.79%로 0.03%포인트 내려갔고 예·적금담보대출 금리는 0.06%포인트 떨어진 2.94%, 보증대출 금리는 0.07%포인트 떨어진2.85%를 나타냈다.

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0.01%포인트 내려간 2.95% 였다. 가계대출에서 3.0% 미만의 금리가 적용되는 대출 비중은 76.0%로 높아졌고, 고정금리 비중은 48.4%로 7월(50.3%)보다 1.9%포인트 낮아졌다.
기업대출 금리는 3.38%로 0.01%p 올랐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3.03%로 한달 사이 0.05%포인트 떨어졌지만, 중소기업은 3.56%로 0.03%p 올랐다.
전체 은행 대출의 평균 금리는 3.23%로 변동이 없었던 반면, 저축성 수신금리는 1.31%로 0.01%포인트 떨어지면서 사상 최저치를 또 경신했다.
정기예금 금리는 1.31%로 0.01%포인트 내렸고 이 가운데 만기가 1년인 상품의 하락 폭은 더 큰 0.02%포인트로 1.36%를 나타냈다.
비은행 금융기관 금리는 떨어졌지만, 상호저축은행 금리는 오히려 올랐다.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2.13%로 0.02%포인트 상승했고 일반대출 금리는 11.44%로 0.24%포인트 올랐다.
지난 4월 11.45%를 기록한 일반대출 금리는 이 후 최고 수준이 저소득층들이 제 2금융으로 많이 이동하자 저축은행들이 수익을 내는 데 박차를 가한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15.70%로 일반 은행 2.95%의 5.3배 수준이며 저축은행과 달리 새마을금고는 예금금리가 1.87%로 0.02%포인트 떨어졌고 대출금리가 3.83%로 0.06%포인트 하락했다.
신용협동조합도 예금금리 0.03%포인트, 대출금리 0.07%포인트 하락했고 상호금융은 예금금리가 0.01%포인트, 대출금리가 0.02%포인트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환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