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안전 ‘적신호’, 김삼화 의원 “기업의 안전조치 위반, 대형사고로 이어져”

[소비자경제=이동윤 기자] 건설, 화학 업계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안전에 경고등이 커졌다.
상위 30대 건설사가 시공한 공사현장에서 지난 5년간 327명 사망, 4,211명이 부상당하는 산재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민의당 김삼화 의원(국회 환노위)이 29일 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공능력 상위 30대 건설사 산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현재까지 30대 건설사 공사현장에서 모두 327명이 산재로 사망하고, 4211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평균 사망자가 73명, 부상자가 936명에 이른다.
지난 5년간 건설사별로는 사망자가 대우건설이 가장 많았고(33명), 다음으로 포스코 건설(25명), GS건설(23명), 현대건설(22명), SK건설(20명) 등의 순이었으며, 부상자는 GS건설이 가장 많았으며(447명), 그 다음은 대우건설(378명), 현대건설(340명), 삼성물산(292명), SK건설(274명)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건설업은 대표적인 재해취약 업종으로, 매년 산재사망자의 절반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면서 “올 6월 발생한 남양주 지하철 공사현장 폭발사고, 9월의 김포 주상복합건물 공사현장 화재사고에서 보듯이 건설현장에서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고, 부실한 안전점검이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의원은 “정부는 사후약방문격의 감독이 아니라, 재해예방을 위한 사전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기업의 안전조치 위반으로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엄중한 책임을 물어 기업들이 경각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같은날 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화학사고 조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총 98명의 노동자가 화재, 폭발, 유해위험물질 누출 등의 화학사고로 목숨을 잃었고, 131명의 노동자가 부상을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사고유형은 폭발(사망 53명, 부상 61명)사고가 가장 많았고, 화재(사망 32명, 부상 29명), 유해위험물질 누출(사망 7명, 부상 40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사고건수는 경기도(26건), 경남(11건), 충북(11건), 울산(10건), 전남(9건) 등의 순으로 빈번하게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13년에 73명이 사상(사망 38명, 부상 35명)했으며, 14년 70명(사망 15명, 부상 55명), 15년 49명(사망 29명, 부상 2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는 6월 현재 37명(사망 16명, 부상 21명)의 사상자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이와 관련 “우리나라는 폭발, 화재, 유해-위험물질 누출 등의 화학사고로 연평균 28명이 사망하고, 38명이 부상당하고 있다”며,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고위험군 산업으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안전사고예방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사고예방을 강조하며 “기업은 취급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작업노동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산업안전에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중소영세 화학사업장의 설비개선을 지원하고, 산업안전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 예방대책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동윤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