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만 사는 가구 66.9% “TV는 일상 생활 필수 매체” 응답해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지난해 6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전국 4266가구의 가구원 75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5년 가구 유형별 미디어 이용행태 분석’ 결과에 따르면, TV를 매일 시청하는 연령대별 비율에서 60대 이상이 85.3%로 가장 높았다. (출처=픽사베이)

[소비자경제=김은희 기자] 우리나라 60대 이상 국민 85% 이상이 매일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지난해 6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전국 4266가구의 가구원 75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5년 가구 유형별 미디어 이용행태 분석’ 결과에 따르면, TV를 매일 시청하는 연령대별 비율에서 60대 이상이 85.3%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는 74.5%, 40대는 60.7%, 30대는 58.1%, 20대 이하는 44.0%가 매일 TV를 봤다. 60대 이상 중 매일 TV를 보는 비율이 20대 이하보다 두 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TV를 시청하는 비율 역시 가구유형별로 보면 부부만 함께 사는 ‘1세대 가구’가 7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2세대 가구’가 62.3%, 3대가 함께 거주하는 ‘3세대 가구’와 ‘독신가구’는 나란히 58.8%였다.

일상생활 필수매체에 대해서도 1세대 가구의 경우 TV를 꼽는 비율이 66.9%로 가장 높았다. 반면 2세대 가구는 스마트폰이 52.6%로 37.3%의 TV보다 높았다. 독신가구의 필수매체는 TV가 45.2%, 스마트폰이 42.8%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김은희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