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자금경색 차단, 원활한 구조조정 지원 목표로 해석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기업구조조정 과정 중 금융불안이 발생하면,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출처=포커스뉴스)

[소비자경제=한민철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업 구조조정에서 비롯한 금융불안에 대해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오전 한국은행 본관에서 시중은행장들이 참석한 금융협의회에 참석해 기업 구조조정에 대해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현재 일부 기업들의 실적부진과 구조조정이 발생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한 기업과 금융당국의 노력에 대해 제시했다.

그는 “현재 순이자마진 축소와 일부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한 기업실적 부진 등에 은행 수익성과 자선건전성 저하가 우려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기업 구조조정이 추진될 경우 은행의 경영 여건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은행들의 손실 흡수력이 양호한 상태이므로 잘 극복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은행들 자체적으로의 대처에 관해서도 보다 목소리를 높였다.

이주열 총재는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신용 경계감이 높아질 수도 있겠지만 은행들이 ‘옥석가리기’를 잘해서 우량기업들까지 자금조달에 애로를 겪는 일이 없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이 총재의 발언은 최근 한계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정치권과 정부가 참여하는 ‘여야정(與野政) 협의체’가 구성되는 등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시장에 자금경색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면 중앙은행이 이를 차단함으로써 원활한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 총재는 지난 2월에 9조원 가량을 증액해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집행할 예정인 금융중개지원대출에 대해서도 은행마다 대출지원 확대가 소기효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촉구했다.

또 현재 국내 경기에 대해서는 “긍정적 신호가 있지만 회복세 이어질지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민철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