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4년 3월 열렸던 한미일 정상회담 (출처=LINKTV 유뷰트채널 영상 캡처)

[소비자경제=한민철 기자] 미국 국무부가 한·미·일 3개국 정상회담의 최대 의제는 대북 압력 강화라고 밝혔다.

미국 AP통신 등 주요외신은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의 발언을 인용해 오는 31일 개최되는 한미일 정상회담의 최대 의제가 북한의 도발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압력 강화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블링큰 부장관은 지난 29일 워싱턴에서 가진 강연회에서 “3개국 정상이 북한에 핵개발을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독자적 아니면 집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추가 조치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블링큰 부장관은 보다 근본적인 대북압박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이행에 더해 추가 제재를 협하겠다고 말하며, 북한과 우호관계를 맺고있는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도발 행위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진정한 압력’을 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며 “북한과 긴밀한 경제 관계를 가지는 중국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은 북한의 행동이 지역 불안정화의 최대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밝혀, 같은 날 미•중 정상회담도 실시 예정으로 양국간의 회담을 통해 중국도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압박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로즈 미 대통령 부보좌관도 29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관련 기자회견에서 “중국과의 연계를 통해 유엔 안보리에서 가장 강력한 제재 결의가 성립됐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특히 중국이 자국에 대한 감시로 이어진다며 한반도 내 사드(THAAD) 배치를 여전히 반대하고 있어,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사드배치 관련 문제 역시 주요 의제로 거론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북한은 지난 29일 오후에도 동북방 내륙 지역으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하며 도발행위를 멈추지 않고 있다. 또 ‘청와대 타격’ 발언을 서슴지 않으며 도발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어떤 위협에도 대한민국은 조금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무모한 도발은 북한 정권 자멸의 길이 되고 말 것”이라며 대북압박을 늦추지 않고 있다.

 

한민철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