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경제=이은지 기자]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애플의 도움을 받지 않고 내부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애플의 보안이 무너진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언론들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소재 연방지방법원에 소송서류를 제출해 애플을 상대로 제기했던 아이폰 잠금 해제 협조 강제 요청을 취하했다.
미국 법무부 산하 연방수사국(FBI)는 작년 12월 캘리포니아주 샌버너디노에서 14명을 숨지게 한 테러범이 사용하던 아이폰5c에 대한 잠금 해제를 위해 애플의 협조를 강제하는 소송을 법원에 냈었다.
테러범의 범행 동기와 테러조직과의 연계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아이폰의 잠금을 해제해야 한다는 이유였다.
애플은 이에 “FBI의 요구는 아이폰에 백도어를 만드는 것이며 아이폰 사용자들을 해커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 것이다”고 경고하면서 FBI의 요구를 거부해 공방이 펼쳐졌다.
당초 FBI와 애플은 22일 법원에서 잠금 해제 협조 강제 요청의 적법성을 놓고 재판을 벌일 예정이었지만 FBI가 “애플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을 수도 있는 방법을 찾았으며 이를 시험해 보겠다”며 재판 연기를 요청했다.
정부에 따르면 결국 FBI는 애플의 도움없이 아이폰 보안 해제에 성공함으로써 현재 파룩이 쓴 아이폰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토 중이다. 애플이 자랑하던 보안에 구멍이 뚤린 셈이다.
미국 정부는 외부에서 도움을 받아 아이폰 잠금장치를 풀었으며 외부 어느 쪽에서 도움을 받았는지는 밝히지 않은 상태다.
알렉스 압도(Alex Abdo) 미국시민자유연맹 변호인은 “이번 상황은 정부가 애플과 같은 기업의 제품을 조사하기 위해 그들 제품의 보안성을 약화시킬 수 있을 지 아닐 지에 대한 논의가 끝난 것과는 거리가 멀다”며 “단지 피할 수 없는 싸움이 연기됐을 뿐이다”고 밝혔다.
이은지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