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9월 전승절 열병식 행사 퍼포먼스를 펼치는 중국 군인 (출처=중국 CCTV 유튜브 방송 캡처)

[소비자경제=한민철 기자] 중국이 군비확장 정책을 고수하면서 올해 국방비 증가율을 7~8%로 목표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교도통신 등 주요외신은 4일 중국 정부가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 개막을 5일 앞두고 푸잉 전인대 대변인이 올해 국방비 증가율이 전년도 실적대비 7~8%정도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국방비가 한 자리 증가에 머문 것은 지난 2010년도 예산안 아래 처음이지만 여전히 국내 총생산량 성장률을 웃도는 수준이다.

외신들은 이번 중국 정부의 군비확장 지속 방침에 대해 최근 남중국해에서의 권익 확보를 염두한 의도라고 분석했다.

특히 푸잉 대변인은 "(남중국해에) 방어시설을 배치하는 것은 필요한 조치"라며 "남중국해에 가장 많은 군 비행기와 함선을 파견하고 있는 것은 미국"이라며 자국의 군비확장의 동기를 미국에 돌렸다.

이는 중국이 남중국해에서의 군사시설 정비를 전면적으로 정당화한 것이다. 때문에 외신들은 미국과 필리핀 등 주변국과의 마찰이 더욱 커질 것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시진핑 지도부는 지난 2012년 11월 출범한 이후 '싸워서 이길 수 있는 군대'라는 구호를 내걸고 7개 ‘군구’를 5개 ‘전(戦)구’로 재편성하는 등 대규모 개혁을 단행했다.

지난해 전인대에서 심의된 국방비 증가율은 전년도 실적대비 10.1%인 8,868억 9,800만 위안(약 163조 5천억 원)이었다.

   
한민철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