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Y6 국내 인기몰이, 중국 스마트폰 인식 바뀌어

[소비자경제=김동현 기자] 중국 화웨이의 초저가 스마트폰 ‘Y6’이 LG유플러스를 통해 단독 판매 중인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단통법 이후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중저가 중심으로 재편된 상태에서 초저가폰이 조용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25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출시된 Y6는 일주일이 지난 23일까지 총 5000대 정도가 팔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 특수를 감안하면 판매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Y6의 일일 판매량의 경우 출시 첫날 300대에서 이튿날 500대로 증가했고 23일 700대까지 늘어난 상태다.
Y6는 5인치 HD 디스플레이, 1GB 램, 2천200mAh 탈착식 배터리에 스마트폰을 인터넷 전화로 쓸 수 있는 ‘듀얼폰’과 데이터 소모 없이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리얼 라디오’ 기능을 갖췄다.
Y6는 출고가가 국내 스마트폰 중 가장 저렴한 15만4000원이다. LG유플러스는 저렴한 월 3만원대 데이터 요금제를 선택해도 13만4000원의 공시 지원금과 2만원의 추가 지원금을 지급해 Y6은 사실상 무료 폰인 것으로 알려졌다.
Y6의 인기는 출시 초기에 하루 2000대씩 팔리면 인기를 끈 SK텔레콤의 전용폰 루나에 크게 밀리지 않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의 유통점 수가 LG유플러스에 비해 배 이상 많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Y6이 루나와 비슷한 수준의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Y6뿐 만 아니라 중국산 스마트폰은 국내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최근 공식 온라인 쇼핑몰 T월드 다이렉트에서 공개한 12월 스마트폰 판매 실적을 보면, 중저가 모델 가운데 화웨이가 제조한 넥서스6P는 1위를 차지했다.
화웨이는 전국 51개 애프터서비스 센터에서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국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화웨이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통사를 통해 출시한 X3의 판매량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며 “Y6의 인기는 중국산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