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아이폰6S

[소비자경제=김동현 기자] 애플이 이용자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아이폰 문자메시지 등에 ‘종단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기술을 적용 중인 가운데 미국 뿐 만 아니라 영국 정부와도 갈등을 빚고 있다.

21일(현지시간) BBC와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애플이 영국 정부의 감시 강화 법안(수사권 강화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의 8쪽짜리 의견서를 이날 영국 의회 법안심사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종단간 암호화는 온라인 거래 등에 널리 쓰이는 기술로 애플은 아이폰 iOS 운영체제에 내장된 암호화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제3자가 해독 불가능한 암호로 바꾼다.

애플은 이용자의 통신 내용이 자사조차 해독할 수 없을 정도로 암호화돼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감청 요구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암호화 기술이 테러와 범죄에 이용된다는 것이 영국 정부 등의 주장이다. 하지만 애플은 이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맞서고 있다.

애플은 의견서에서 범죄자나 해커로부터 고객 정보를 확실하게 지켜내는 것이 우선순위라고 주장했다. 애플은 “문 앞 깔개 밑에 열쇠를 두면 나쁜 사람들도 들어올 수 있다”며 악용을 우려했다.

영국 내무부가 지난달 범죄와 테러 예방을 명분으로 내놓은 초안은 정보기관의 권한을 확대하고, 애플 같은 IT 기업이 대화 내용을 제공할 조치들을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이를 위해 IT 기업이 시스템을 다시 설계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는 않는다.

애플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20일 방송된 CBS ‘60분’에 출연해 “아이폰에는 건강과 금융 정보, 가족이나 직장 동료와의 사적 대화가 들어 있고 사업 기밀도 있을 수 있다”며 “이런 정보를 보호하는 유일한 방법은 암호화”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 정부와 의회에서는 아직 암호화 기술 등과 관련한 움직임이 없다.

뉴욕 맨해튼 지방검사인 사이러스 밴스는 20일 성명에서 애플이 법 집행에 방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제임스 코미 국장도 지난달 파리 테러 이후 암호화된 스마트폰 데이터에 대해 우려를 밝혔다.

BBC에 따르면 영국 및 미국 정부, 실리콘밸리 등이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더욱 쉽게 정보공유를 하는 협정 형태의 것을 만들려는 논의가 있어왔다.

이에 대해 애플은 ‘장비 개입’과 관련한 우려를 제기했다. IT 기업의 시스템을 원격으로 해킹하는 것에서부터 IT 기업의 하드웨어 자체에 개입하는 것까지 수사 및 정보당국의 다양한 기술들을 우려하는 것이다.

애플은 “해킹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서 민간 영역으로 확대하는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BBC는 핵심 우려들 중 하나는 개정안이 모호한 규정들을 담고 있는 점이라며 ‘1984 통신법’ 같은 예전의 법들은 국민이 잘 알지 못하는 행위들로 비밀리에 확대 적용됐다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