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 확보로 올바른 기부문화 정착
[소비자경제=서예원 기자] 연말이 되면 따뜻한 기부 소식이 많아진다. 그러나 기부단체의 투명성 불신으로 인해 일반인의 기부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달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기부를 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은 29.9%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36.4%, 2013년 34.6%보다 줄어든 수치다.
국민들이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거나 기부단체의 투명성을 믿을 수 없기 때문이었다. 기부하지 않는 이유 중 ‘기부단체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의견은 10.6%로 2년 전보다 2.4%p 증가했다.
실제 공익법인들이 기부금 사용 실태의 공시 양식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이드스타와 한국일보가 45개 대형 공익법인들의 기부금 사용 실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월드비전이나 세이브더칠드런 같은 글로벌 기부단체를 포함해 26개 단체들이 공식 양식을 지키지 않아 분석조차 할 수 없는 상황으로 밝혀졌다. 사업비, 인건비, 광고선전비 등이 0원으로 기입된 엉터리 공시도 눈에 띠면서, 낙제 수준에 다다른 공익 단체들의 투명성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글로벌 공익 단체들은 기부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실한 공시자료가 시정되지 않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등 기부금 30억 이상의 법인 45곳 중 19곳은 인건비를 사업비로 잘못 분류하며 항목 부실기재로 공시 오류 판정을 받았다.
국세청 관계자는 “국세청 법인세과 담당 인원은 2명에 그쳐 사실상 엄격한 자료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여타 기부 선진국들과 달리, 국내의 경우 국세청으로부터 공시정보를 받아 이를 공개하는 기관은 한국가이드스타뿐이다.
민간영역에서의 감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국내 현실에서 담당 부처마저 손쓰기 어려운 상황 때문에 기부단체들이 자정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담당 부처의 인원 확충은 물론 민간 영역에서의 기부금 운용 감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부단체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언론이 더 적극적으로 보도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기부단체 투명성에 대해 평가를 시도한 언론의 보도가 있었음에도, 기독봉사회는 여전히 홈페이지조차 개설되지 않았고, 어린이재단 역시 광고선전비 내역 수정이 없었으며, 한국해비타트의 홈페이지에서는 지출 내역을 찾아볼 수 없었다.
신속하고 정확한 시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기부단체들을 압박할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진정한 자금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삼일미래재단의 서태식 이사장은 “단순히 재무제표상 수치를 맞추고 홈페이지나 언론을 통해 공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느냐가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서예원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