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선보일 전망

[소비자경제=김동현 기자] 같은 통신사 가입자만 사용할 수 있었던 LTE 기반 음성통화(VoLTE)가 상용화 돼 다른 통신사끼리도 VoLTE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통사들은 지난 6월 상호 연동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고 대상 가입자를 조금씩 확대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오는 20일 VoLTE 상호 연동을 시연한다. VoLTE는 테이터와 음성통화를 LTE망으로 구현한 서비스로 3G에 비해 음질이 깨끗하고 연결 시간이 짧다.
VoLTE는 약 3년 전에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시행됐다. 통신사들은 서로 간의 접속료 문제로 인해 서비스를 서로 연동하지 못해 소비자들은 타 통신사 가입자로 전화를 걸 때 VoLTE를 사용하지 못했다.
이통사들은 VoLTE 서비스 상호 연동이 시작되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스마트폰 외에도 노트북, 스마트TV, 스마트 냉장고 등 유심(USIM)이 없는 다른 기기를 이용해 음성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 착신전화’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KT는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인 ‘후후’ 등에 VoLTE를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3G망이 없어 VoLTE 이용자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LG유플러스는 차세대 음성 코덱이 들어있는 VoLTE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2012년 하반기 이후 출시된 국내 스마트폰의 경우 VoLTE를 사용할 수 있다”며 “VoLTE는 3G에 비해서 훨씬 깨끗한 음질로 통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