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김정훈 기자] 최근 분식회계 논란이 일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이 1조원 이상의 추가 부실을 안고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이 지난 7월부터 진행해 온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가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추가 부실 규모는 향후 대우조선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여서 정밀 분석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대우조선이 지난 2분기(4~6월)에 '해양플랜트 악재'로 3조원대 손실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해외 자회사 부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추가 부실 발생이 기정사실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면 추가 손실이 1조원을 넘길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도 이를 인정했다.
그는 지난 7일 국회 정무위 종합 국정감사 때 대우조선 해외자회사의 손실 가능성에 대해 "확정해 말할 수는 없지만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올 2분기 실적이 발표되기 전부터 대우조선 해외 자회사들의 경영이 어렵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다.
이 때문에 정성립 사장 취임 직후부터 루마니아의 대우망갈리아중공업, 중국의 대우조선해양산동유한공사, 북미의 풍력부문 자회사 드윈드와 대우조선해양트렌튼 등이 정리 대상 자회사로 거론됐다.
해외 자회사까지 포함시켜 대우조선 실사를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 산업은행은 독자적인 생존 역량 등을 따져 처리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김정훈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