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김정훈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7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지난 14일 일본 아베총리의 전후(戰後) 70주년 담화에 대해 아쉬움을 표명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의 협력은 동아시아 평화 번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런 의미에서 아베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역사의 대한 인식은 가린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살아있는 산증인들의 증언으로 살아있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가)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 국민들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준 점과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한 사죄와 반성을 근간으로 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분명하게 밝힌 점을 주목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일본이 열린 마음으로 동북아 평화에 앞장서길 기대한다"면서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박 대통령은 북한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통일한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은 우리의 거듭된 대화 제의에 응하지 않으면서, 평화를 깨뜨리고 남북간 통합에 역행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DMZ 지뢰 도발로 정전협정과 남북간 불가침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하고, 광복 70주년을 기리는 겨레의 염원을 짓밟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 70년 분단으로 훼손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해야 한다"며 "지금 북한과 함께 진행중인 다양한 문화, 학술, 체육 교류를 중단없이 추진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북한과의 지속된 협력은 '한강의 기적'을 넘어 '한반도의 기적'이 가능하다"며 광복 100주년을 내다보며 국민 모두가 통일을 준비해 나가자"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창조경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도전을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로 도약하기 위해선 21세기 시대적 요구이자 대안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두 날개를 완성시켜야 한다"며 "지역의 혁신 주체와 기관들이 협력해 우수한 지역 인재들과 특화산업을 키워내고 지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문화융성'과 관련해선 "광복 이후 우리의 급속한 발전도 그 근간엔 면면히 이어져 온 우리의 창의적 기질과 문화적 역량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전통문화를 재발견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 산업과 문화를 융합해 우리 경제를 일으키는 한 축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훈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