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암병원 대장암센터 민병소 교수팀...미국 학회 발표

[소비자경제=정명섭 기자] 기존 결장암 수술법의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수술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 수술법은 기존 수술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른 전문의들이 쉽게 배울 수 있어 '표준수술법'이 될 가능성도 있다.
연세암병원 대장암센터 민병소 교수팀은 지난 2000년부터 2009년 7월까지 773명의 결장암 환자에게 ‘맞춤형 결장암 수술법’을 시행한 결과 5년 생존률 84%, 무병(無病) 생존율이 82.8%로 각각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결장암은 전체 대장(약 150cm)의 90%(약 135cm)를 차지하는 결장에 생긴 암을 말한다.
이는 기존에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독일 호헨버거 교수의 결장암 수술법과 비교할 때 5년 생존률, 무병 생존률, 재발률 등이 비슷하거나 더 좋은 치료 결과다.
결장암 수술법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호헨버거 교수의 수술법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는 조금씩 다른 수술법이 사용되고 있다. 결장암에 대한 표준치료법이 아직 없기 때문이다.
호헨버거 교수의 수술법은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결장을 많이 절제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회복 속도를 느리게 하는 등 예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이 있다. 또한 췌장의 뒷면 등 접근이 어려운 부분을 많이 절제하기 때문에 개복(開腹) 수술 외에 복강경이나 로봇 수술로는 실행하기 어렵다는 제한점도 있다.
민 교수팀의 새로운 수술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절제하는 범위를 다르게 한다. 수술 뒤 5년 간 추적관찰 결과 생존률과 무병 생존률, 재발률 등이 호헨버그 교수 수술법과 비슷했다.
개복 뿐 아니라, 복강경이나 로봇 수술로도 가능하다는 점은 차별화된 특징이다. 이 때문에 대장외과 전문의들이 일정 기간 동안 훈련을 받으면 따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미국 네쉬빌에서 열린 미국위장관내시경수술학회(SAGES)에 초청돼 새 결장암 수술법을 발표한 민 교수는 “결장암의 표준수술법이 없는 상태에서 우리 수술법이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되고, 미국 학회에서 초청돼 발표했다는 것은 우리가 개발한 수술법이 결장암 표준수술법 후보의 하나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개복 외에 복강경, 로봇 등으로도 가능하므로 많은 외과 의사들이 따라할 수 있어 표준수술법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명섭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