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경제=김동현 기자]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 인텔의 올해 1분기 PC 부문 매출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PC 시장이 예상보다 더 안 좋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체 매출의 62%를 PC용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존하는 인텔이 상당히 힘들 예정이다.
19일 해외 IT매체에 따르면 인텔은 올해 1분기 매출 예상치를 10억 달러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IT매체 EE타임스는 “인텔이 줄어드는 PC 부문 매출을 보완할 다른 대체 사업 모델을 찾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IDC에 따르면 올해 PC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5.5% 줄어들어 시장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매출 순위 2위인 삼성전자가 올해 인텔을 추격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부문에서는 세계 1위이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MPU)와 시스템반도체 등을 더한 종합 순위에서는 인텔에 이어 2위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가 조사한 2014년 반도체 매출은 인텔이 513억 달러, 삼성전자가 372억 달러로 여전히 100억 달러 이상 차이가 난다. 하지만,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 격차는 역대 최저인 3%포인트 내외까지 좁혀졌다.
글로벌 반도체 순위는 인텔 삼성에 이어 TSMC(대만), 퀄컴(미국), 마이크론/엘피다(미국), SK하이닉스, TI(미국), 도시바(일본), 브로드컴(미국), ST(유럽) 순이다.
삼성전자는 30∼40%대 글로벌 점유율을 확보한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부문의 시장 지배 구조를 유지하면서 14나노 핀펫으로 대표되는 시스템 반도체와 이미지센서 등의 매출에 도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은 지난해 20나노 모바일 D램, 14나노 핀펫, 3차원 V낸드 등 7가지 새 제품에 대해 세계 최초 양산 체제를 갖췄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13일 주주총회에서 “20년 이상 이어온 메모리 1위 업체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시스템LSI 사업부도 2015년에는 14나노 핀펫 제품, 고화소 이미지센서 등 고부가 제품 매출과 AP-모뎀 원칩 라인업 확대를 통해 본격적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혔다.
김동현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