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조제·미용상품 등 지출 늘어

[소비자경제=김수정 기자] 불황에도 불구,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한 소비는 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무(NoMU; No More Uncle)족과 노마(NoMA; No More Aunt)족이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 중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소비자 5000명을 대상으로 ‘안티에이징 산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지출 여력이 빡빡하다’는 소비자가 대부분(81.8%)인 가운데, 젊음을 유지하거나 아름다워 보이기 위한 지출은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비타민·홍삼제·영양제 등 건강보조제를 복용 중인 응답자는 61.2% 였다. 블루베리·견과류 등 건강식품을 섭취 중인 소비자(58.6%)도 절반을 넘었으며, 이어 피트니스 이용(43.2%), 식초음료·다이어트음료·피부보습제 등 섭취(13.8%) 순이었다. 50대 이상의 경우 80.6%가 건강식품류나 건강보조제를 섭취 중이라고 답해 연령이 많을 수록 건강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4.2%는 미백이나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 중이라고 답했으며, 46.6%는 염색이나 탈모방지 등의 헤어케어제품을, 25.8%는 피부관리기·바디슬리밍 등 뷰티가전제품을 활용중이었다. 또, 16.4%는 피부과·성형외과 시술을, 12.4%는 치아미백이나 교정을 받았다고 답했다.

성별로 아름다워지기 위한 목적의 지출을 살펴보면, 남성은 헤어케어제품(36,8%), 기능성화장품(24.45), 뷰티가전(16.9%), 치아미백(7.9%), 피부과·성형외과 시술(3.7%) 순이었으며, 여성은  기능성화장품(82.2%), 헤어케어(55.8%), 뷰티가전(34.1%), 피부과·성형외과 시술(28.3%), 치아미백(16.8%) 순이었다.

아름다움에 지출하는 금액은 20대가 76만 1000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53만 7000원), 40대(42만원), 50대 이상(57만 2000원) 순이었다. 항목별로는 피트니스·피부클리닉 또는 요가활동 70만 9000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미용 목적 의료비 61만 2000원, 화장품 38만 4000원, 건강식품류 35만 9000원 순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86.9%는 과거보다 젊음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답했으며, 63.9%는 외모가 곧 능력이자 자기관리의 척도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편 ‘아저씨티’를 벗으려는 노무족도 급격히 늘고 있다.

BB크림을 사용한 적 있는 남성이 23.7%에 달했고, 지난 3년간 건강보조제·건강식품류 섭치를 늘린 남성 역시 31.4%에 이르렀다. 15.7%는 피트니스나 피부클리닉 방문이 잦아졌다고 답했고, 11.6%는 기능성화장품 사용을 늘렸다고 답했다.

안티에이징 활동의 애로 요인(복수응답)으로는 높은 가격(60.4%), 불확실한 제품효과(59.2%), 재료나 원료에 대한 불신(44.8%), 외모관리를 사치로 보는 사회분위기(10.6%) 등을 꼽았다.

박종갑 대한상공회의소 상무는 “12조원 규모의 안티에이징 시장이 매년 10%씩 급성장한 데는 수명연장과 저출산 고령화, 시니어 세대의 부상, 여성의 사회진출 및 외모중시 경향 확대 등 사회적 요인이 큰 몫을 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다 BB크림이나 뷰티가전(뷰티+가전) 같은 창조적 융합 아이디어도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제보 및 기사제보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