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5人5色 /Creation

외래 관광객 1천만 명 시대 도래
주5일제로 여가시간 활용 관심 증가


산업사회의 고도화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로 본격적인 관광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문화관광산업은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세계경제의 10%에 달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지난 50년간 세계관광객은 28배, 관광 지출은 240배가 증가했다.
2010년 세계관광객은 10억 명, 관광 지출은 7600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에 우리나라도 이제 외래 관광객 1천만 명의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또한 주 5일 근무제에 따라 여가시간 활용을 위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관광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경기관광공사는 경기 관광의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고 보다 많은 국내외 관광객을 경기도로 유치하기 위해 경기도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후기 산업사회에 걸맞은 삶의 질 향상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체류형 관광’ 통한 수익창출

임 사장은 관광산업 중에서도 ‘체류형 관광’이 수익성이 높다고 말했다.
“오래 일시적으로 들렀다 가는 경유형 프로그램으로는 지역의 수익 창출을 가져오기 어렵기 때문에 머무는 체류형 프로그램으로 지역 내 관광소비가 이뤄져 이를 수익창출로 연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체류형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숙박시설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팜스테이, 템플스테이, 홈스테이 등 대체숙박시설을 적극 육성하고 농촌체험 및 슬로우푸드마을, 낙농 및 어촌체험마을을 육성할 계획이며, 수도사(평택, 전통사찰음식), 신륵사(여주, 남한강변 비보사찰), 보광사(파주) 등이 템플스테이 개발의 좋은 예로 들었다.
또, 고급호텔 및 중저가 숙박시설 확보, 도로표지판, 외국어 음식 메뉴판, 안내판 정비 등의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머물면서 즐길 거리, 볼거리, 먹거리를 엮은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뿐 만 아니라 “한류우드 등 대표적인 관광 인프라 구축과 농어촌 연계 프로그램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현재 어려움에 부딪혀 있는 한류우드 사업을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을 통해 한류우드를 경기도의 대표관광지로 발돋움시키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임 사장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 사회 분야에서의 다른 영역과 연계할 때 관광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적극적인 지역 축제 지원

경기관광공사는 올해 적극적으로 축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임 사장은 “일부에서는 지역 축제가 너무 많다는 지적도 있지만 경쟁력 있는 축제는 자생력을 갖고 축제의 틈바구니에서도 살아남아 더욱 진가를 발휘할 것”이라면서 도내 다양한 축제들을 세계적 축제로 발돋움시키기 위해 세계도자비엔날레, 가평자라섬재즈페스티벌, 안성바우덕이축제 등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경기관광공사는 수원영화 문화관광지구, 한류우드 조성사업 등을 주요개발 사업으로 선정하고 안산 사동 챔프카 활용사업과 과천시 복합관광문화단지 조성사업을 시군협력 역점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DMZ를 경기도를 뛰어넘는 세계브랜드로 육성, 규제가 많은 북부지역을 관광 거점지화해 DMZ를 평화 및 문화 이미지화 시킨다는 방침이다.
“홍콩, 일본 등이 미국의 디즈니랜드를 설치했고 서울도 추진 중이나 디즈니랜드를 유치하고 유니버셜스튜디오 등 외국테마파크를 유치하는 것은 과도한 로열티 부담으로 국부유출의 위험성이 있다”고 말하는 임 사장은 “외국테마파크 유치만으로는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다”면서 “관광이 관광객을 끌어들여 장사를 하는 것 이외에도 교육적인 목적도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할리우드 유니버셜스튜디오의 경우, 대규모 세트장 및 단지 조성으로 대중문화를 양산해 미국적 자긍심을 세계에 심어주고 있듯이 우리에게도 이 같은 우리의 자긍심이 필요하다는 것이 임 사장의 설명이다.

혁신경영 통해 도민 의견 반영

얼마 전 IMF 이후 처음으로 지방공기업 퇴출이 있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임 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공공기관, 공기업 등은 사기업의 역량과 발전을 따라갈 수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공기업 스스로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최근 일부 지자체의 공무원 퇴출 붐을 꼭 긍정적인 것으로 볼 수는 없으나 혈세를 쓰는 만큼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예산집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지방공기업의 혁신경영 및 윤리경영을 통해 도민들이 원하는 바를 귀 기울여 듣고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