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우수 인재는 5.5년 만에 박사학위 취득
초중고 정보 교과 내 AI 교육 확대...2028년까지 모든 교육청 'AI 지원센터' 설립

정부가 초·중등 교육은 물론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인공지능(AI)' 보편교육을 강화한다. 사진은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공개수업에서 초등생들이 AI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초·중등 교육은 물론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인공지능(AI)' 보편교육을 강화한다. 사진은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공개수업에서 초등생들이 AI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 이동윤 기자 = 인공지능 대전환 시대, 정부가 ‘국민 누구나 AI 역량을 갖춘 나라’를 목표로 본격 시동을 걸었다.

정부는 초·중등 교육은 물론 평생학습까지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인공지능(AI) 교육을 강화한다. 교육부는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하고, 인공지능 중점학교를 현재 730개에서 오는 2028년까지 2,000개교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학·대학원의 관련 정원 확대, 조기 박사과정(패스트 트랙) 신설 등 전방위 제도 개편에도 나선다.

이번 방안은 글로벌 패권 경쟁이 치열해진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교육부는 “AI 대전환의 기반은 결국 인재”라는 인식 아래 초·중등부터 대학, 성인교육에 이르는 전 생애 학습체계를 개편해 ‘AI 3대 강국’ 실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생애주기별 인공지능 교육 강화

그동안 AI 교육은 초·중등 정보 교과 중심으로 운영돼 왔지만, 앞으로는 고등·평생 분야까지 확대된다. 교육부는 교사 양성단계부터 AI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교·사대의 AI 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중점학교는 2028년까지 2,000곳으로 늘려 각급 학교의 AI 교육 전환을 촉진한다. 또한 국가교육위원회와 협업해 AI 교육을 체계화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정도 추진한다.

대학 단계에서는 거점국립대 중심으로 AI 교양 및 융합강좌를 확대하고, 비전공 학생도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내년부터는 30개 대학이 AI 윤리, 생성형 AI 활용 등 교양강좌를 시범 운영하며,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교육을 필수화한다.

성인 학습자를 위한 AI 집중과정 ‘AID(AI+Digital)’는 올해 30개교에서 내년 38개교로 확대된다. 케이무크(K-MOOC), 사이버대, 방송대 등을 통한 온라인 AI 교육 플랫폼도 강화되며,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으로 교육비 부담도 줄인다.

지역 균형형 AI 인재 생태계 조성

정부는 수도권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지역 단위 AI 인재양성 체계를 구축한다. 내년 3개 교육청에 ‘AI 교육지원센터’를 우선 설치하고, 2028년까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거점국립대를 지역 AI 거점대학으로 집중 육성(내년 3곳, 300억 원 규모)하고, 지역 산업과 연계한 AI 전공 학과 및 단과대학 신설도 지원한다. 지역 대학·기업·연구소 협력 체계도 강화해 지역 내 인재가 성장·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우수 인공지능 인재 조기양성·성장 지원

정부는 이공계 기피와 인재 유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체계적 성장경로를 마련한다.과학고·영재학교의 AI·SW 특화 교육과정 운영을 확대하고, AI 역량 중심 입학전형을 늘린다.

또한 학·석·박 통합 ‘패스트 트랙’을 도입해 우수 인재가 평균 5.5년 만에 박사학위를 취득하도록 지원한다. 이공계 우수 학부생에게는 연간 2,000만원 규모의 학업장려금을 제공하며, 연구참여 기회도 확대된다.

두뇌한국(BK)21 사업 내 AI 교육연구단 확대, 박사후연구원 제도화, ‘국가석좌교수제’ 도입 등도 추진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장기적으로 안정된 연구 기반을 확보하고, 산업·학계로의 진출을 촉진할 계획이다.

산업 연계형 인재 양성 및 산학협력 강화

산업계와 직업계고·대학 간 협력 모델도 대폭 확장된다. AI 특화 마이스터고 신규 지정, 직업계고 AI 리터러시 강화, 특성화고 학과 재구조화 등이 추진된다.

대학 단계에서는 기업과 협약을 맺고 현장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는 계약학과·계약정원제를 확대한다. 또한 기업이 직접 AI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사내대학원 제도를 정비하고, 산학연 성과물을 학위로 인정하는 ‘산업학위제’도 도입한다. 대학의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결하기 위한 창업기금 및 지원 인프라도 확대된다.

“AI 인재양성은 국가 생존전략”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인공지능 인재양성은 국가의 생존 전략 차원에서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면서 “교육부는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인공지능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인공지능 기본 교육을 지원하고, 에이엑스(AX)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공지능 대전환과 인재양성은 정부 부처 전체가 힘을 합쳐야 하는 만큼 관계부처와 협업도 강화해 나갈 것이며, 현장과도 끊임없이 소통하며 정부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