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질환부터 심혈관 질환까지 통합 관리 논의

인사말 중인 남궁현 GC녹십자 국내영업부문장(사진=GC녹십자 제공) 
인사말 중인 남궁현 GC녹십자 국내영업부문장(사진=GC녹십자 제공) 

[소비자경제] 최주연 기자 = 혈우병 환자의 기대수명 증가에 따라 동반 질환에 대한 관리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GC녹십자가 전문 의료진과 함께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GC녹십자는 지난 13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혈우병 전문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환자의 동반 질환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은진 교수와 한국혈우재단의원 유기영 원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혈우병 환자의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동반 질환을 주제로 구성됐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신촌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승준 교수가 ‘단일 질병 중심의 접근을 넘어, 대사 동반 질환을 다각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 교수는 고혈압과 고지혈증, 항혈전제 사용에 대한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 해외 가이드라인과 세브란스병원 내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기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는 신촌 세브란스병원 소아혈액종양과 한정우 교수가 맡아 ‘혈우병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반 질환에 대한 이해와 관리’를 주제로 발표했다. 한 교수는 “연령별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동반 질환은 관리가 중요하다”며 “혈우병 환자의 낮은 활동량은 대사성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체내 응고인자 수치를 높여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 세션에서는 혈우병 환자의 기대 수명 증가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는 동반 질환 관리 방안이 논의됐으며, 의료진들은 비혈우병 환자 관리 사례를 토대로 혈우병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치료 전략을 공유했다.

GC녹십자 국내영업부문장 남궁현은 “혈우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동반 질환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앞으로도 의료진과 함께 최신 지견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