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한시은 기자] 현대자동차의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이 인천공항에 구현된다.
현대자동차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6일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에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국제공항의 디지털전환 및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상호 협력은 ▲공항 내 상용·특수 차량의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전환과 수소 인프라 확대를 비롯해 ▲공항물류 자동화·지능화 로봇 등의 로보틱스 및 스마트 물류시설 도입 ▲AAM 생태계 구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적기 도입 ▲미래기술 전시 및 홍보 ▲기타 기업 비즈니스 지원 등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전반에 걸쳐 추진된다.
현대차는 향후 연간 1억 명이 넘는 여객이 오갈 글로벌 메가 허브 공항에 핵심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구현해 전 세계 고객들에게 기술혁신을 알리고 고객의 반응도 폭넓게 살필 수 있는 글로벌 테스트베드(Testbed)를 확보하게 된다.
현대차는 앞으로 공항지역 수소충전소 확대와 함께 현재 160여 대에 달하는 공항리무진 및 셔틀버스, 공항 물류용 지게차와 트럭 등 공항 모빌리티 전반에 걸쳐 수소연료전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로보틱스 분야 신규 협력사업도 강화된다. ▲공항 경비·보안 ▲공항 물류 ▲여객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문에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이 개발 중인 지능화 로봇을 투입·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AAM부문에서는 지난 2021년 대한항공, KT, 현대건설과 함께 국내 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 상용화를 위한 ‘K-UAM One Team’ 컨소시움을 결성한 바 있다.
자율주행 기술의 경우 세종 스마트시티와 경기도 판교 제로시티, 국회의사당 경내 ‘자율주행 로보셔틀’ 시범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에서도 시범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공항 터미널 내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한 자율주행 개인용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또한 양사는 인천국제공항이 이용객들에게 ‘설레는 공항’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미래 모빌리티와 첨단 기술과 같은 차별화된 볼거리를 제공하는 등 고객경험 부문에서도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현대차 장재훈 사장은 “현대차는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는 모든 이용객들이 공항 전역에서 혁신적인 이동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수소와 자율주행, 로보틱스, AAM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구현할 계획”이라며 “이번 업무 협약으로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의 이동 경험을 확장하고 궁극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이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가 오가는 허브 공항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현대차, 7월 33만2003대 판매…지난해 대비 1.4% 감소
- 현대자동차 ‘유엔세계식량계획’과 맞손…전 세계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 현대차‧기아 인도네시아 AAM 사업 첫 발…기술 실증 공개
- 현대차, 2분기 영업익 4조2791억원 ‘역대 최대’…하이브리드·SUV가 견인
- ‘양궁 40년 후원’ 현대차그룹, 양궁 체험행사 연다
- 현대차 무공해 전기버스 ‘일렉 시티 타운’, 日 ‘야쿠시마’ 달린다
- 현대차, 인니 ‘현대 EV 충전 얼라이언스’ 구축
- 현대차그룹, ‘해피무브 더 그린’ 신규 론칭
- 현대차‧기아, 전기차 충전 생태계 개선 앞장
- 현대차, 국내 최초 ‘전자종이 비콘 출입증’ 개발
- 현대자동차,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과 ‘플라스틱, 새로운 발견’ 전시회 개최
- 현대자동차, 상반기 국내 중대형트럭 시장 석권 기념 고객 감사 이벤트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