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설명회’ 개최…AI 중심 사업형 투자회사 비전 제시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이 기업설명회 현장에서 오프닝 스피치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SK네트웍스] 

[소비자경제=최지우 기자] SK네트웍스가 인공지능(AI) 중심 사업형 투자회사로서의 성장비전을 제시했다.

SK네트웍스는 16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SK네트웍스 및 주요 투자사 경영층과 7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자리한 가운데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은 회사의 새로운 비전으로 ‘AI 민주화를 통한 인류의 문명화’를 제시했다.

최 사장은 “보유 사업에 AI를 접목해 더 많은 사람들이 AI 관련 혜택을 누리게 함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창출하고, 기술을 통한 경제적 가치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더해나가겠다”라며, “이를 위해 앞으로 AI 관련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한 역량을 확보해 SK매직, 엔코아, 워커힐 등 다양한 사업에 차별적인 AI 솔루션을 도입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AI 민주화는 글로벌 기술 업계의 화두로, 젠슨 황엔비디아 CEO도 지난 12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2024 세계정부정상회의’에서 AI 민주화에 대해 강조한 바 있다.

지난 2020년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펀드 투자를 시작으로 AI 관련 사업영역 확장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온 SK네트웍스 역시 변화하는 시대 속 인류의 문명화를 위해 AI 민주화를 비전으로 삼아 전사적인 역량 결집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이날 SK네트웍스는 사업과 투자수익을 재원으로 삼아 투명한 배당 구조를 산정하고 중간배당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투자 유치와 연계된 지분을 제외한 자사주는 모두 소각할 방침으로, 주주 친화적 경영을 위한 의지를 확고히 했다.

SK네트웍스 비전 소개에 이어 SK매직, 엔코아, 워커힐 등의 AI 접목 혁신 방향성 발표가 이어졌다.

SK매직은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AI 협업 생태계를 구축해 기존 제품에 AI 기반 혁신을 추진하고, 펫·실버케어·헬스케어 등 웰니스 영역에서 AI 신규 제품 및 서비스를 도입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8년까지 영업이익률 20%, 기업가치배수 30배를 달성한다는 중장기 재무 목표도 잡았다.

SK네트웍스가 지난해 인수한 엔코아는 다양한 파트너들의 AI 도입을 돕는 ‘AI 파워하우스 기술 기업’으로 혁신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터 관리 업계를 대표하는 엔코아는 올해 B2B 및 B2G 고객 맞춤형 LLM서비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오는 2026년 매출 858억 원, 영업이익 276억 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워커힐 호텔앤리조트는 ‘문화’와 ‘기술’ 영역의 혁신을 통해 ‘AI 호텔’로 탈바꿈한다. 이를 통해 현재 68% 수준인 객실점유율을 3년 내 5% 이상 높이고, 이익도 3배 가까이 신장시킬 계획이다.

SK네트웍스는 이 같은 본사 및 투자사의 사업 모델 혁신과 AI, 로보틱스 분야의 신규 성장 엔진 발굴 등의 성과를 통해 오는 2026년 말 현재의 3배 수준에 이르는 7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호정 SK네트웍스 대표이사는 “개인과 산업계에 강력한 트렌드로 자리 잡은 AI를 사업 혁신테마로 삼아 사업형 투자회사 기업 모델의 완성도를 높일 것이다”라며 “이를 통해 주주가 우리회사 주식을 오래 보유하게 하고, 우리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는 구조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