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과 파트너십 강화해 제품 가치 극대화 강조

SK하이닉스 신설 조직인 ‘AI 인프라’ 수장을 맡은 김주선 사장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신설 조직인 ‘AI 인프라’ 수장을 맡은 김주선 사장 [사진=SK하이닉스]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SK하이닉스는 7일 신설 조직인 ‘AI 인프라’ 수장을 맡은 김주선 사장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김 사장은 이날 인터뷰를 통해 “AI 중심으로 시장이 급격히 변하는 환경에서 기존처럼 일하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며 “앞으로도 ‘AI 메모리는 SK하이닉스’라는 명제에 누구도 의문을 품지 않도록 소통과 파트너십을 강화해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작년 말 조직 개편을 통해 AI 인프라 조직을 신설하고 김 사장을 승진 임명했다. AI 인프라 조직은 Global 사업을 담당하는 GSM, 전사 HBM 역량을 결집해 출범한 HBM Business, HBM 이후 미래 제품·시장을 탐색하는 MSR로 구성되어 있다.

AI Infra의 리더와 구성원들은 전사와 협업해 AI 메모리와 차세대 제품을 기획하고, 고객이 만족하는 영업을 펼치며 선제적으로 AI 시장을 개척해 나간다. 구체적으로, 고객별 요구에 맞춰 차별화한 스페셜티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고, 거대언어모델(LLM)을 분석해 최적의 메모리를 개발하며, 커스텀(Custom) HBM의 콘셉트를 구체화해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을 제안하는 등의 업무를 추진한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관성을 벗어난 혁신’을 강조했다. 버릴 것은 과감히 버리고, 집중해야 할 일에 몰입해 가치를 만들라는 것이다.

그는 “AI 중심으로 시장이 급격히 변하는 환경에서, 기존처럼 일하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바꿀 건 유연하게 바꾸며 고객 요구를 파악하고 지원해야 한다. 관성을 벗어난 혁신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업무 구조를 재구성하고, 고객의 니즈와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명확히 파악한다면 AI 시장을 우리에게 더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지난 수년간 GSM 조직을 이끌며 관성을 버릴 때 어떻게 혁신할 수 있는지 몸소 보여줬다. 시장 예측 툴 MMI를 개발하고, HBM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해 AI 메모리 시장에서 SK하이닉스의 입지를 확고하게 다진 점은 그의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김 사장은 “그동안 시장 예측은 개발, 제조, 구매, 영업, 마케팅 등 여러 조직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돼 예측률이 떨어졌다. 같은 패턴을 반복한다면 달라질 것이 없던 상황, 저는 원팀 체제를 구축하고, 전사 자원을 효율적으로 집행해 시장 변화 및 운영 이슈에 빠르게 대응하는 역량을 보강했다. 덕분에 6개월 이상 앞선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고, HBM 수요에도 적기에 대응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지난 1991년 2월 반도체 FAB 생산팀으로 입사한 김 사장은 여러 부서에서 일하며 전문성을 쌓았다. 지난 2017년부터는 GSM 영업본부장을 맡으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힘썼다. 특히 중화권 MCP 점유율 확보에 큰 힘을 보탰다.

이어 2021년부터는 GSM 담당과 미주법인장을 겸하며 미국 시장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가 ‘영업 귀재’로 불리는 배경이다. 이렇듯 김 사장은 빠른 판단과 실행력으로 D램과 낸드를 아우르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갔다.

비결을 묻는 질문에 김 사장은 “당사 상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고객과 긴밀하게 소통했기에 누구보다 빠르게 결정하고 움직일 수 있었다. 이런 감각을 활용해 시장을 공략한 덕분에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SK하이닉스 구성원들에게 “어떤 난관에 맞닥뜨리더라도 절대 포기하지 않는 패기와 끈기로 맞서면 고객의 신뢰와 값진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마음에 새기고 목표 달성을 위해 맡은 바 최선을 다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