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10.5% 감소…영업이익 44.1% 하락한 1520억 원 기록
[소비자경제=차신애 기자] 아모레퍼시픽그룹(이하 아모레퍼시픽)이 2023년 4조 213억 원의 매출과 152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5%, 영업이익은 44.1%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은 31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지난해 면세와 중국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새로운 글로벌 주력 시장인 미주와 EMEA(유럽, 중동 등), 일본에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 중에서는 헤라, 에스트라, 홀리추얼, 비레디, 일리윤, 라보에이치, 롱테이크 등이 선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채널 기준으로는 순수 국내 E커머스와 국내외 멀티브랜드숍(MBS) 채널에서 매출이 견고하게 성장했으며, MBS 채널에서의 판매 호조로 대부분 자회사의 매출도 성장했다. 에뛰드의 경우 수익성 중심의 체질 개선 효과로 195.5%나 영업이익이 성장하는 성과도 거뒀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면세 매출 감소로 전년 대비 14.4% 줄어든 2조 210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화장품 부문은 국내 E커머스 채널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으며, 데일리뷰티 부문은 프리미엄 라인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며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브랜드들은 강화된 기능성을 갖춘 혁신 신제품의 출시와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주력했다. 설화수는 대표 제품 ‘윤조에센스 6세대’를 선보이고 하이엔드 라인 ‘진설’을 리뉴얼 출시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다.
또 라네즈는 ‘퍼펙트 리뉴 3X 시그니처 세럼’ 등 신제품을 출시하고 디지털 마케팅에 집중하며 MBS 채널에서 견고하게 성장했으며, 헤라는 ‘글로우 래스팅 파운데이션’ 등 신제품 출시 및 글로벌 앰버서더 제니와 함께한 브랜드 캠페인 전개로 글로벌 MZ 고객 공략에 집중했다. 에스트라의 경우 올리브영에서 2023년 더마 코스메틱 카테고리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로 등극하며 남다른 성과 창출의 한 해를 보냈다.
여기에 려가 고기능 탈모 케어 라인 ‘루트젠’을 출시하고 미쟝센이 근본 손상 케어 라인 ‘이너플렉스’를 선보이며 기능성 헤어 케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했다. 라보에이치의 ‘칠성사이다’ 컬래버레이션과 일리윤의 ‘산리오’ 에디션 등 다양한 이종 브랜드와의 협업도 주목을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아시아 지역 매출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5.5% 하락한 1조 391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채널 효율화 및 재고 축소 활동 등으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매출이 하락한 여파가 컸다.
또 아모레퍼시픽은 일본시장에서 현지화 기준으로 약 30%의 매출 증가를 이뤄냈다. 라네즈와 이니스프리가 견고하게 성장하고 헤라와 에스트라 등 신규 브랜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일본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미주 지역의 성장세도 전년 대비 58%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먼저 립 카테고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며 성장한 라네즈와 MBS 채널 접점을 확대한 설화수, 이니스프리가 미주 시장의 성장세를 이끌었으며,EMEA 지역에서는 진출한 모든 브랜드가 성장하며 전체 매출이 62%나 증가했다.
이 밖에도 라네즈는 영국의 럭셔리 뷰티 멀티숍 ‘SPACE NK'와 중동의 세포라 채널에 진출하며 글로벌 영토 확장을 선도했다. 아세안 시장은 라네즈의 판매 호조 속에서 전년 수준의 매출을 유지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은 이번 실적에 대해 주요 자회사들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전반적으로 매출은 증가했으나 마케팅 투자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하며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니스프리는 채널 재정비 및 마케팅 투자 확대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THE NEW ISLE’ 리브랜딩 캠페인 전개 및 ‘비타C 그린티 엔자인 세럼’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해 고효능 자연주의 스킨케어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에뛰드는 MBS 채널의 견고한 성장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성 제고 활동의 효과로 영업이익도 대폭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 ‘컬픽스 마스카라’, ‘픽싱 틴트’ 등 핵심 제품을 통해 카테고리 경쟁력을 강화하고 ‘무신사’, ‘진저슈가’ 등과 협업하며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에스쁘아는 프리미엄 파운데이션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등 핵심 경쟁력 강화의 효과로 전체 매출이 성장했다. ‘비벨벳 쿠션 뉴클래스’ 등 신제품을 출시하고 고객 경험 공간인 ‘에스쁘아 연남’을 새롭게 선보이며 프리미엄 메이크업 브랜드로서의 입지도 강화했다.
마지막으로 매출이 성장한 아모스프로페셔널도 브랜드 리인벤팅 및 미용인 네트워킹 활동인 ‘살롱 커넥션 2023’ 등을 진행하며 브랜드 매력을 강화했다. 오설록의 경우 제주 티뮤지엄 리뉴얼 오픈 및 티하우스 해운대점 등을 새롭게 선보이며 매출이 성장했다. ‘시그니처 얼그레이’, ‘허니 블랙티’ 등을 출시하고 구딸과 함께 ‘쁘띠 쉐리 티 칵테일’을 운영하는 등 제품과 서비스의 라인업도 다변화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그룹은 ‘Grow Together’의 경영 방침에 따라 ‘브랜드 가치 제고’, ‘글로벌 리밸런싱,’ ‘고객 중심 경영’의 경영전략을 추진 중이며, 우선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여기에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 및 엔진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아모레퍼시픽, ‘희망나눔캠페인 성금 3억원’ 기부
- “오래가는 입술 볼륨” 프리메라, ‘레티놀 볼륨 립 세럼’ 출시
- 아모레퍼시픽 ‘에스트라’, 베트남 시장 진출
- 아모레퍼시픽 비레디, ‘아우프글렛’과 ‘프레스 더 리셋 버튼’ 팝업 진행
- “AI 컬러진단” 아모레퍼시픽 톤워크, ‘비건 200+ 파운데이션’ 출시
- 아모레퍼시픽그룹, ‘화장품 유리병 회수·재활용’ 나선다
- 이상목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동참
- 아모레퍼시픽그룹, 1분기 영업익 830억원·전년比 1.7%↑
- “원스톱 생산체제 구축” 아모레퍼시픽그룹, ‘오설록 티팩토리’ 설립
- 에뛰드, ‘진저슈가 오버나이트 립마스크’ 누적 판매 121만개 돌파…최대 14% 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