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회사 납품한 물품대금 2조 1400억 원 조기 지급
지난해 명절 조기 지급액 1조 400억 원보다 2배 이상↑
전국 각 사업장별 온라인 장터 오픈 지원 상품 등 판매
[소비자경제=차신애 기자] 삼성은 설 명절에 앞서 국내 경기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협력회사 물품대금을 조기에 지급하고 임직원 대상 ‘온라인 장터’도 운영한다. 삼성이 이번에 협력회사에 조기 지급하는 물품대금은 삼성전자 1조 4000억 원 을 비롯해 총 2조 1400억 원으로 지난해 설을 앞두고 지급했던 1조 400억 원 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협력회사 물품대금…지난해 1조 400억 원 보다 2배 이상↑
이번 물품대금 조기 지급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제일기획 △웰스토리 등 11개 관계사가 참여하며 회사별로 예정일보다 최대 21일 앞당겨 지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의 주요 계열사들은 협력회사들의 원활한 자금 흐름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물품 대금 지급 주기를 기존 월 2회에서 월 3~4회로 늘렸다.
삼성은 지난 2018년부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해 지급하는 등 납품대금 연동 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협력회사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다.
매년 명절마다 온·오프라인 직거래 장터 운영
삼성전자·물산·생명을 비롯한 17개 관계사는 임직원 대상 온라인 장터를 열고 △전국 농특산품 △자매마을 상품 △스마트공장 지원 중소기업 상품 등의 판매를 시작했다. 삼성은 그동안 매년 명절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직거래 장터를 운영해 왔으며 지난해 설과 추석에는 70억 원 이상의 상품을 구입했다.
직원들은 온라인 장터를 통해 △관계사 자매마을 농수산물·특산품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지원업체들이 생산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번 설 맞이 온라인 장터에서는 △한우 선물세트 △수산물 세트 △가공식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각 관계사 노사협의회도 임직원들이 온라인 장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 중소·중견기업의 제조 환경 개선을 돕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3200건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지난해부터는 AI·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기존 스마트공장을 더욱 고도화시키는 ‘스마트공장 3.0’ 사업도 새롭게 추진하고 있다.
삼성은 협력회사가 아닌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전환도 지원해 △지역 경제 활성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 완화 △지역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삼성은 스마트공장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물론 삼성 임직원들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은 중소 협력회사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상생 펀드·물대 펀드도 운영하고 있다. 상생·물대 펀드 규모는 2010년 2조 3000억 원에서 현재 3조 4000억 원으로 50% 증가했다. 협력회사들은 조성된 펀드를 활용해 시설투자, R&D 등 회사발전을 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청소년 꿈 키운다” 삼성, ‘드림클래스 겨울캠프’ 수료식 성료
- 삼성전자, 英 ‘브리티시 가스’ 스마트싱스 에너지 보급
- 삼성전자, ‘더 프레임’ 디스플레이 최초 팬톤 인증 획득
- 삼성전자, AI 컴패니언 ‘볼리’ 삼성 타이젠 OS 탑재
- 삼성SDI,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
- 삼성엔지니어링, 2023년 매출 10조 6249억원 기록
- “네오 QLED 8K 체험” 삼성전자, ‘8K 고래와 나’ 이벤트 실시
- 삼성물산, 래미안갤러리 특별 팝업 전시 ‘바오패밀리 in 래미안’ 진행
-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 기반 ‘수면 무호흡 기능’ 美 FDA 승인
- 삼성물산, 데이터센터 차세대 냉각시스템 개발
-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건조기’, 유럽 매출 3배↑
- 삼성엔지니어링, ‘삼성E&A’로 사명 변경 추진
- 삼성스토어, ‘열린공간 서비스’ 전국 27개 매장 확대
- 삼바 찾은 이재용 회장, “더 높은 목표·과감한 도전 해야”
-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 디스플레이협회 제9대 협회장 취임
- 삼성엔지니어링, ‘삼성E&A’ 새롭게 시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