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입고·보관·출고하는 최첨단 디지털 물류 서비스 제공

GS칼텍스는 23일부터 서울 서초구 소재 내곡주유소에 최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스마트MFC’를 준공하고 디지털 물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GS칼텍스] 
GS칼텍스는 23일부터 서울 서초구 소재 내곡주유소에 최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스마트MFC’를 준공하고 디지털 물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GS칼텍스] 

[소비자경제=최주연 기자] GS칼텍스가 도심 속 주유소를 활용한 스마트 물류 서비스 운영을 통해 물류 거점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GS칼텍스는 23일부터 서울 서초구 소재 내곡주유소에 최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스마트MFC’를 준공하고 디지털 물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스마트MFC(Micro Fulfillment Center)는 주문 수를 분석·예측해 물품을 입고 및 보관하고 배송까지 처리할 수 있는 소규모 물류 공간을 뜻한다.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마트MFC는 물품의 입고·보관·출고까지 모두 자동화로 처리한다.

이 시설을 이용하는 판매자는 상품을 물류 회사에서 도심 외곽에 위치한 허브터미널까지 보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새벽배송’과 같은 신속한 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인근 지역주민과 주유소 고객들은 생활물품 보관 및 픽업서비스 등 생활물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GS칼텍스는 지난해 9월 서울시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국토교통부 주관 디지털 물류 서비스 실증사업에 함께 지원해 실증사업자로 최종 선정됐으며, 같은 해 11월부터 내곡주유소 부지에 자동화 설비를 도입한 스마트MFC 건설을 시작했다.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주유소 내 스마트MFC는 택배 수령 공간이나 물류 창고를 결합한 기존의 사례를 넘어 스마트 물류 시설, 로봇 및 드론을 통한 배송 실증 등 미래형 첨단 물류 기능을 집약한 사업으로, 시설 내 설치된 6대의 로봇이 하루 3600개의 물품을 자동 처리하는 규모로 운영된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스마트MFC를 통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배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사업이 도심의 물류 환경을 개선하고 배송에 소모되는 트래픽과 탄소 배출량 감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마트MFC가 소재한 내곡주유소는 재건축을 통해 다음달 초 GS칼텍스의 미래형 주유소 ‘에너지플러스 허브 내곡’으로 탈바꿈될 예정이며, 주유와 세차, 전기차 충전, 물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