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신재생 ESS 전시회 참가…4대 핵심 사업전략 발표
4.76MWh LFP셀·주택용 ESS 제품 등 다양한 제품 선봬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ESS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신재생 ESS 전시회 ‘RE+ 2023’에 참가해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4대 사업전략을 발표했다고 12일 전했다.
장승세 ESS 사업부장 전무는 “검증된 생산능력과 차별화된 ESS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5년 내 ESS 사업부문의 매출을 3배 이상 성장시키겠다”며 “특히 가장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미국 시장을 집중 공략하기 위해 올해 초 3조 원 규모의 애리조나 신규 ESS용 LFP 배터리 생산공장 투자를 결정했고, 앞으로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 말했다.
글로벌 ESS 시장은 각국의 정책적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으로 이 같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전문 조사기관 우드맥켄지에 따르면 북미 ESS 시장은 2022년 12GWh에서 2030년 103GWh까지 약 10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현지 대규모 생산공장 운영 ▲현지 공급망 체계 강화 ▲차별화된 LFP 배터리 기술력 ▲SI(시스템 통합) 역량 등을 4대 핵심 사업전략으로 삼고 본격적으로 미국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해당 전시회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네트워크 존 ▲전력망용 존 ▲주택용 존 ▲상업용 존으로 전시부스를 구성해 4.76MWh 용량의 LFP셀을 적용한 전력망용 ‘모듈러 타입’의 수냉식 컨테이너 제품 등을 선뵀다.
이 밖에도 NCM 배터리 기반의 높은 에너지밀도를 자랑하는 주택용 ESS 제품 ‘enblock S’와 인버터 등 ESS 시스템 구성품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해 제공한 ‘enblock S+’ 등도 소개했다. ‘엔블럭(enblock)’은 LG에너지솔루션이 주택용 ESS 신규 브랜드로 에너지(energy), 블록(block)을 합친 단어로 ‘에너지가 담긴 공간’이라는 뜻이다.
RE+ 2023 행사에는 전 세계 1300여 개의 주요 신재생 및 ESS 관련 기업들이 참가했다.
관련기사
- LG엔솔, 멸종위기종 ‘물장군 살리기’ 사업 지원 나서
- LG엔솔, 칠레 SQM과 ‘7년간 10만t’ 리튬 구매계약 체결
- LG엔솔, 캐나다 정부와 ‘보조금 지급’ 최종 합의
- LG엔솔 AVEL,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나선다
- “나눔문화 실천” LG엔솔, ‘인도네시아’ 봉사활동 진행
- LG엔솔, 글로벌 그린본드 ‘10억 달러’ 발행 성공
- LG에너지솔루션, 세계 1위 토요타에 배터리 공급한다
- ‘매출 8조 2235억원’ LG에너지솔루션, 2023년 3분기 잠정실적 발표
- LG엔솔-현대차, ‘탄소 ZERO’ 체험 캠페인 실시
- LG엔솔-KAIST, 리튬메탈전지 원천기술 확보
- LG엔솔, ‘산타’ 봉사활동 진행 ‘따뜻한 온정’ 나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