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분기보다 39만건 감소…보험가입 권유 전분기 대비 20.9% 급증
[소비자경제=김연주 기자]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 ‘후후’를 서비스하는 브이피가 2023년 2분기 후후 이용자들이 신고한 스팸 통계를 발표했다. 총 스팸 건수는 595만건으로 이전 분기보다 39만건 감소했다.
kt가 가장 많이 신고된 스팸 유형은 지난 분기에 이어 여전히 ‘주식·투자’ 관련으로 249만건(41.8%)을 기록했고, △불법게임·유흥업소 108만건(18.0%) △대출권유 99만건(16.7%) △보이스피싱 29만건(4.8%) △보험가입 권유 23만건(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고 25일 밝혔다.
주식·투자 관련 스팸은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주식투자 사기 등으로 위축된 투자 심리가 반영되며 지난해 동기 대비 28% 감소, 전분기 대비 7.4% 감소했다.
불법게임·유흥업소 유형의 스팸은 지난해 분기보다 12.3% 감소했는데, 이는 최근 정부가 카지노업 유사행위 금지규정 신설 등 불법도박 근절을 위한 대책 수립·단속 강화에 나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총 스팸신고 건수가 감소하며 모든 유형의 스팸이 소폭 감소세를 보인 데 반해 보험가입 권유 관련 스팸은 이례적으로 전분기 대비 20.9% 급증했다. 이는 해킹으로 유출·탈취된 개인정보가 악용되는 2차 피해사례인 경우는 물론, 서비스 가입·회원등록 등의 과정에서 명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 채 마케팅 수신에 동의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신고 유형이다.
불법 스팸 대응을 위해 관련 법령 개정·처벌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피해를 전면 차단하기는 어려운 만큼, 이용자 스스로의 노력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후후 앱에서 제공하는 스팸전화 안내·의심 URL 탐지 서비스를 이용자가 적극 활용하면, 스팸전화 여부·문자메시지 내 URL의 위험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브이피는 관계자는 “만약 모르는 번호의 전화를 받았는데 스팸으로 확인했다면, 간단한 클릭만으로도 해당 스팸정보를 신고해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면서 “후후는 축적된 신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팸 피해 예방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