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의료로 변화하는 의약품시장 대응력 강화 ‘성장동력 확보’
[소비자경제신문=최주연 기자] 셀트리온은 최근 바이오 빅데이터 전문기업 ‘바스젠바이오’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공동 연구 위원회’를 구성하고 ‘유전체 분석 역량 확보 및 바이오마커 개발’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향후 5년간 관련 10개의 공동연구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셀트리온은 기존 의약품 개발뿐 아니라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까지 R&D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셀트리온은 바스젠바이오와 함께 유전체 바이오마커 개발을 추진해 의약품 최적의 환자군 정의, 질환의 표적 발굴, 후보물질 스크리닝은 물론 임상 디자인에도 관련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다.
바이오마커는 단백질이나 DNA, RNA(리보핵산), 대사 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로, 최근 정밀 의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바이오마커가 질환 진단과 약물의 치료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스젠바이오는 2018년 설립된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전문기업으로 바이오마커 발굴 및 AI 신약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약 16만명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 독점 사용권을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정밀 의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이 보유한 항체의약품 개발·판매 경험에 바스젠바이오의 AI 바이오 빅데이터 기술이 더해지면 신약 개발을 위한 시너지가 극대화되고, 셀트리온 의약품의 시장 포지션을 견고히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셀트리온, 산불피해지원 강원도 ‘성금 1억원’ 기탁
- 셀트리온, ‘램시마SC’ 글로벌 임상 3상 ‘AOCC’ 공개
- 셀트리온, 안과질환 포트폴리오 확장…“글로벌 시장 공략”
-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글로벌 직판망 구축 매출 최대 30% 늘 것”
- 셀트리온, 세계 최초 항체 ‘램시마’ 누적 처방액 12조원 돌파
- 셀트리온, 1분기 영업이익 1823억원…전년比 41% 증가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 글로벌 경쟁력 확인
- ‘트룩시마·허쥬마의 실적견인’ 셀트리온헬스케어, 1분기 실적 발표
- 셀트리온,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CT-P47 임상 데이터 최초 공개
- 셀트리온, 歐학회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경쟁력 입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