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친환경 연료 전문업체…식물성 원료 기반 생산 원천 기술 보유
화석연료보다 90% 이상 탄소저감 효과 기대…2026년까지 상업화
[소비자경제신문=권찬욱 기자] LG화학이 바이오 원료를 기반으로 한 플라스틱 사업 확대에 나선다.
LG화학은 13일 북미 친환경 연료전문업체 지보(Gevo)와 오는 2026년까지 바이오 프로필렌(Propylene)을 상업화하기 위한 공동연구개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보에서 바이오 에탄올(Bio-Ethanol)로 프로필렌(Propylene)을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면 LG화학은 공동 연구개발 및 공장구축을 통해 상업화에 나설 예정이다.
지보는 식물성 기반의 다양한 원료로 지속가능항공유(SAF)와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보유한 친환경 에너지 기업이다.
현재 옥수수와 사탕수수 등에서 발효 생산된 바이오 에탄올로 에틸렌(Ethylene)을 만드는 기술은 상업화 되어있지만, 바이오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ETO(Ethanol to Olefin)기술을 상업화하는 것은 처음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노바 연구소(Nova Institute)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 원료 기반 플라스틱 생산 규모는 450만 t으로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14%의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바이오 프로필렌이 개발되면 바닥재·기저귀·자동차 내외장재 등을 만드는 고객사에 100% 바이오 기반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기존 제품보다 90% 이상 탄소저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폴 D. 블룸(Paul D. Bloom) 지보 탄소혁신경영책임자(CCIO, Chief Carbon and Innovation Officer)은 “LG화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배출저감을 위한 친환경 원료 사업을 가속화할 것”이라 밝혔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도 “바이오 원료 중심의 사업포트폴리오 강화로 미래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LG화학은 친환경 중심에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충남 당진시에 열분해유 공장을 착공하고,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리모컨·셋톱박스 등의 원료를 공급하여 탄소 중립 및 자원 선순환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관련기사
- CJ대한통운·LG화학 ‘재활용&순환경제’ 협약 체결
-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 위한 첫 걸음” LG화학, 당진공장 착공식 개최
- [증권Now] LG화학, 1분기 양극재 판매량 복원 가능…LG엔솔 지분 매각 여부 변수
- LG화학, 아시아 최초 식물성 원료 기반 친환경 ABS 출시
- “1.2조원 투자” LG화학, 새만금에서 ‘양극재 핵심 재료’ 만든다
- LG 23년 1분기 실적표…전사적 노력으로 실적 끌어올려
- LG화학, 스타트업 ‘현장 방문 컨설팅’ 지원
- LG화학, 2030 배터리 소재 매출 ‘30조’ 달성…6배 키운다
-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신성장동력’ 인재 확보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