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5개사와 현장 제조식 수소충전소 구축 예정
수소 생산·공급 원스톱으로…원가 절감·공급률 확대

한국가스공사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LNG 기반 현장 제조식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합작 회사 ‘하이스테이션’ 설립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진행에 박차를 가한다.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LNG 기반 현장 제조식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합작 회사 ‘하이스테이션’ 설립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진행에 박차를 가한다. [사진=한국가스공사]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에 나섰다.

한국가스공사는 LNG 기반 현장 제조식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합작 회사 ‘하이스테이션’ 설립을 완료하고 사업 진행을 본격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수소차 보급 확대·수소 수요 확충·수소설비 업체 육성·사업 모델 수출 등 다양한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하이스테이션 설립을 위한 주주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달 19일 설립 자본금 납입 및 발기인 총회를 갖고 25일 법인 설립 등기를 완료했다. 하이스테이션은 수소사업을 선도하는 삼성물산(상사부문)·우드사이드 등이 주주로 참여했으며 가스공사는 지분율 29%로 최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하이스테이션은 시내버스 차고지를 중심으로 하루 최대 72대의 수소버스 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수소충전소 6곳을 구축할 예정이다. 통영 수소교통 복합기지 사업을 필두로 2023년부터 지자체와 함께 국토교통부 수소교통 복합기지 사업 및 환경부 보조금 사업에 참여해 수소 충전소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융복합 수소충전소는 기체 수소를 운송 받아 공급하는 여타 충전소와는 달리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 등을 활용해 현장에서 직접 수소를 생산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소가 필요한 수소버스·수소트럭에도 안정적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 자체 생산·공급을 통해 운송비를 대폭 절감함은 물론 물류 대란 등 예기치 못한 공급 차질에 따른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

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으로 현재 지자체가 운행 중인 경유·CNG 시내버스가 수소버스로 빠르게 전환돼 탄소 배출 저감·미세먼지 감축 등 대기 환경 개선이 기대된다. 특히 충전소 부재로 인해 수소버스 전환에 미온적이었던 지자체와 수요 부재 사유로 충전소 구축에 속도를 내지 못했던 사업자의 딜레마를 함께 해소함으로써 수소 경제 확산이 촉진될 전망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