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가구 금융부채, 69조4000억원 달해

[사진=연합뉴스]

보유한 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빚 청산이 불가능한 가구가 38만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은행에서 받은 가계부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강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인 38만1000가구였다. 이들 고위험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69조4000억원에 달했다.

2020년 말 40만3000가구보다는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37만6000가구 대비로는 소폭 늘어난 규모다.

고위험 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이 40%를 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를 의미한다.

한편, 고위험 가구보다 다소 범위가 넓은 취약 차주가 전체 대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분기 말 현재 6.3%로 집계됐다.

취약 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 저소득자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 저신용자를 의미한다.

한은은 “취약 차주 비중이 최근 상승세로 전환했는데 소득 여건 악화와 신용도 변화 등 재무 건전성 저하에 대출금리 상승 영향까지 더해진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등 주요국 통화 긴축 영향으로 앞으로 국내 금리도 빠르게 상승하면서 취약차주 이자 부담이 한층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에 따르면 이른바 빅스텝에 따른 전체 대출자 이자 증가분은 6조5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3000억원을 취약차주가 부담한다.

강준현 의원은 “최근 지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대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특히 취약 차주 이자 부담 급증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심영범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