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점검 일정 당겨…회계 등 전반 점검
공사중단이 한달 넘게 지연되면서 조합과 시공사업단의 갈등이 극한으로 치달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장에 대해 정부와 서울시가 합동점검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는 국토교통부, 강동구청과 함께 23일부터 6월 3일까지 둔촌주공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 운영실태 전반에 대한 합동점검을 한다. 강동구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공문을 조합에 발송하고 사전 준비와 협조를 요청했다.
조사단은 국토부, 서울시, 강동구청과 회계사, 변호사 등 외부전문가로 꾸려지며 용역업체 선정 및 계약, 자금차입·예산편성 및 집행 등 회계처리, 총회 개최 및 정보 공개 등 조합 운영실태 전반을 살펴볼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20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둔촌주공 사태가 길어지고 양측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공사 재개는 계속 불투명해 질 것”이라면서 “사태가 장기화하되면 ‘유치권에 의한 경매’까지 나올 수 있다. 제2의 트리마제처럼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재건축 사업인 둔촌주공 아파트를 민간시행 방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조합원들 피해는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7월에 예정된 정기적인 합동점검을 강동구청의 요청으로 일정을 앞당겼다. 법령 내에 들어오는 위법·위반 사항이 있다면 엄격히 점검하고, 그 범위를 벗어난 사항인 경우에는 현장에 가서 한 번 더 살펴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둔촌주공 조합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둔촌주공 조합 정상화위원회 등 일부 조합원들은 시와 구청에 지속해서 실태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토부도 이번 실태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전망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앞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과 관련해서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여러 다른 견해를 풀어주기 위해 매우 심사숙고하고 있다”고 거론했다..
둔촌주공 조합 정상위 측은 모두 소진된 7000억원의 사업비 사용 내역과 의혹이 제기됐던 마감재 등 특정 업체 선정 배경, 자문위원 운영 논란 등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아파트 5930가구를 철거하고 지상 최고 35층, 85개동, 1만 2032가구 규모 신축 아파트 '올림픽파크 포레온'을 새로 짓는 사업이다. 지난해부터 조합과 시공사업단 사이 갈등이 심화하며 지난달 15일 공정률 52% 상태에서 공사가 중단됐다. 시공사업단은 타워크레인 철거 작업을 시작했고 사업비 대출 보증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이번 합동점검 대상에는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장 외 대조1 재개발 조합과 보문5 재개발 조합도 포함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보통 국토부와 정기적인 합동점검을 3곳씩 같은 기간에 동시에 한다”며 “둔촌주공과 마찬가지로 조합 운영실태 전반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