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요금제를 쓰고 있는 한 소비자로서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5G 요금제에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그동안 제기됐던 중간요금제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5G 이동통신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현재 5G에 대한 이용자들의 품질 불만 해소를 위해 기지국과 주파수 등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양극화된 요금제를 실제 눈높이에 맞게 손질한다.
남기태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은 지난달 28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경쟁력을 확보했다 자부하고 있으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선택권 제한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라며 “기초 인프라가 부실하며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정체돼 있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많은 상황이다”라고 밝혔다.
실제 과기정통부가 황보승희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5G 기지국 현황’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 5G 기지국은 20만 5254개로 집계됐다. 100만개가 넘는 LTE 기지국과 비교하면 20%대 수준에 그친다. 국내 5G 가입자 수는 지난 2월 2282만명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LTE 가입자 수(4771만명)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3000만명 돌파 전망도 점쳐지고 있다.
현재 이통3사는 2만~4만원대의 저가요금제와 8만~9만원의 고가 요금제로 나눠 5G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달에 15GB와 100GB 사이의 데이터를 쓰는 요금제는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남기태 위원은 “5G 이용자 평균 데이터 이용량은 한 사람마다 약 23GB 정도 되는데 통신사가 제공하는 요금제에는 10GB와 100GB가 있는 게 일반적”이라며 “그런 간극을 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반면 이통3사가 윤석열 새 정부의 첫 통신정책에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새 정부는 ‘5G 이동통신 중간요금제’ 도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인데, 업계에선 이것이 수익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하고 있기 때문.
통신업계에선 새 정부의 이 같은 구상을 대놓고 반대하진 못하고 있지만, 당장 수익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고가의 무제한 요금제를 가입했던 이용자가 중간 요금제로 대거 갈아탈 경우, 당장 ARPU(가입자당월평균매출)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아울러 업계 관계자는 “중간 요금제가 도입되면 고가 요금제 가입자가 대거 옮겨가게 돼 수익이나 투자 여력이 모두 감소하고, 5G 망 투자에 대한 회수도 제대로 안된 상황이라 걱정이 크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중간 요금제 도입이 LTE(롱텀에볼루션) 가입자의 5G 이동이 늘어날 수 있고, 저가 요금제를 쓰고 있는 고객층이 오히려 중간 요금제로 전환하면서 ARPU 상승을 견인할 수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말 5G 일반 가입자 비중은 54.3%로 무제한 가입자를 넘어섰고 5G 일반 가입자 순증은 무제한 가입자의 3배를 넘어선 상황이다. 일부 무제한 가입자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일시적 영향에 그칠 것이며, 오히려 일반 가입자의 요금제 선택폭이 확대된다는 점에서 5G 전환 가속화와 일반요금제 ARPU 상승 기대가 가능하다.
이통3사는 당장의 수익에 급급하지 말고, 그동안 5G 요금제로 인해 고통받은 소비자들에게 이제 보답할 때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