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중단 초유사태에 서울시 분양계획 차질
사업비 7천억·이주비 1.4억…대출액 총 2.1억 달해
금융사 이달말 회의 “대응 방안 논의·의견 수렴할 것”
오세훈 서울시장 “공급물량 차질 없도록 중재 나설 것"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금융권이 공사가 중단된 둔촌주공 사업과 관련해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해야 할 사안인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조합과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의 갈등으로 자칫 대출금을 회수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단군 이래 최대의 재건축 사업으로 꼽히는 둔촌주공은 5930가구를 철거하고 지상 최고 35층, 85개 동, 1만 2032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공사비 증액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던 조합 집행부와 시공사업단이 ‘강대강’의 평행선을 달리면서 공정률 52%인 공사가 지난 15일 0시부로 전면 중단됐다.
공사가 중단된 이유는 둔촌주공 전(前) 조합장이 시공단과 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공사비를 5600억원 가량 늘리는 내용의 계약을 맺었으나, 새 조합 집행부가 이전 조합장이 맺은 계약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갈등이 빚어졌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20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시공이 중단된 상태에서 이미 시공사는 피해를 본 상황”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서울시 중재팀을 통해 조합과 시공사 간의 협상테이블을 최대한 빠르게 열고, 협상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빠른 준비를 통해서 작업인원의 재투입으로 피해를 최소화해서 시공을 진행할 때”라고 설명했다.
둔촌주공 재건축 ‘만기 전 회수’ 검토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에 자금을 빌려 준 금융사 17곳의 대리은행인 NH농협은행은 이달 말 대주단 회의를 열 계획으로 전해졌다. 금융사들은 이 자리에서 공사 중단 관련 현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하며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금융사들은 공사 중단이 조합과 시공단과 간 갈등에서 출발한 만큼 대출 관련 리스크를 우려하고 있다. 조합은 시공단의 신용공여(연대보증)로 대출금을 조달한 상태다. 대주단 일각에선 사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어 대출 기한이익상실 여부를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이 대주단으로부터 조달한 자금은 사업비 대출 7000억원과 이주비 대출 1조 4000억원을 합쳐 총 2조 1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만약 기한이익을 상실할 경우 대주단은 만기 전에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으며 이주비 대출 만기는 7월, 사업비 대출의 만기는 8월에 도래한다.
이번 사태에 대해 경기도 A시 조합원은 “시공사들의 정당한 공사비 증액과 더불어 현 조합에 대한 책임유무를 물어서 조합과 조합원간의 의견조율도 필요해 보인다”면서 “시공사에 새로운 협상안을 제시해서 빠르게 시공을 재시작해야 추후 발생하는 이자부담을 최소화하고 피해를 덜 볼 거 같다”고 말했다.
또다시 중재나서는 서울시
아울러 서울시가 또다시 둔촌주공 재건축 공사 중단에 따른 사태 장기화를 막기 위한 중재에 나섰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조합원의 피해가 막대해질 뿐 아니라 서울시의 올해 분양 일정에도 차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둔촌주공은 올해 서울시 분양물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는 그동안 강동구청과 함께 약 10차례 중재에 나섰지만, 조합과 시공단의 입장차이가 커 조율에 실패했다. 지난달 22일에도 중재회의가 열렸지만 결국 결렬됐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조합과 시공단에만 사안을 맡겨두지 말고 공급물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라고 당부했다.
서울시는 조만간 이번 문제를 논의할 공식적인 테이블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관련업계 종사자는 “조합원 입장에서는 조합지도부의 잘못된 협상으로 인해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게 됐다”면서 “이번 둔촌주공 사태를 계기로 다른 조합에서도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고, 원만하게 재개발 및 재건축 현장이 진행이 되어서 피해를 보는 경우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